금강경강의 선현기청 분 제2(善現起請分第二)
善現起請分第二
時長老須菩提。在大眾中。即從坐起。
偏袒右肩右膝著地。合掌恭敬而白佛言。希有世尊。
如來善護念諸菩薩。善付囑諸菩薩。世尊。
善男子善女人。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應云何住云何降伏其心。佛言。善哉善哉。
須菩提。如汝所說。如來善護念諸菩薩。
善付囑諸菩薩。汝今諦聽。當為汝說。善男子善女人。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應如是住如是降伏其心。唯然世尊。願樂欲聞。
금강경 제2장 『善現起請分』 – 수보리의 간청, 수행자의 마음을 묻다
『금강반야바라밀경』, 일명 『금강경』은 부처님의 공(空) 사상을 간결하고도 깊이 있게 설한 대표 경전입니다. 제2장 「善現起請分」은 수보리 존자가 부처님께 수행자의 마음가짐에 대해 묻는 장면으로, 수행의 길에 나선 이들에게 근본적이면서도 실제적인 방향을 제시합니다.
時長老須菩提。在大眾中。即從坐起。
그때 장로 수보리가 대중 가운데 있다가 자리에서 일어났다.
장면은 사위국 기원정사에서 시작됩니다. 장로 수보리는 부처님의 제자로서, '공(空)'에 대한 깊은 통찰을 지닌 이입니다. 그는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자리에서 조용히 일어납니다.
偏袒右肩右膝著地。合掌恭敬而白佛言。
오른 어깨를 드러내고, 오른 무릎을 땅에 꿇고, 두 손을 모아 공경스럽게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이 자세는 인도 전통의 예를 갖춘 존경의 표현입니다. 이로써 수행자가 스승 앞에서 어떤 자세로 법을 청해야 하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希有世尊。如來善護念諸菩薩。善付囑諸菩薩。
“가히 드문 일이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보살들을 잘 보호하고, 잘 가르쳐 주십니다.”
수보리는 부처님의 자비로운 보살도 지도에 깊은 찬탄을 표합니다. ‘善護念’과 ‘善付囑’은 곧 부처님이 보살들에게 법을 제대로 전하고, 그 수행을 이끌어 주심을 의미합니다.
世尊。善男子善女人。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일으킬 때…
여기서 '善男子善女人'은 수행의 뜻을 품은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그들이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 즉 최고의 깨달음을 이루고자 하는 큰 서원을 세운다면...
應云何住。云何降伏其心。
…그 마음을 어떻게 머물게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하옵니까?”
수보리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큰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겠다는 결심은 했지만, 그 마음을 실천 속에서 어떻게 유지하고, 방해 요소를 어떻게 다스릴 수 있을지 묻는 것입니다.
佛言。善哉善哉。須菩提。如汝所說。如來善護念諸菩薩。善付囑諸菩薩。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좋다, 좋다, 수보리야. 네가 말한 대로 여래는 보살들을 잘 보호하고, 잘 가르친다.”
부처님은 수보리의 질문이 매우 적절하며 소중한 것임을 인정합니다. 이 짧은 칭찬 속엔, 수행자 스스로 진리를 갈망하며 묻는 자세가 얼마나 귀한지를 드러냅니다.
汝今諦聽。當為汝說。
“너는 이제 자세히 들으라. 내가 너를 위해 말해 주리라.”
부처님은 이제 본격적으로 가르침을 시작합니다. ‘諦聽(체청)’은 바른 귀로 바르게 들으라는 뜻으로, 단순히 ‘듣는’ 것이 아닌, 마음으로 경청하라는 강조입니다.
善男子善女人。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應如是住。如是降伏其心。 “선남자와 선여인이 무상정등정각의 마음을 내었으면, 이와 같이 그 마음을 머물고, 이와 같이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이 대목은 이후 『금강경』 전체의 핵심 사상을 예고합니다. 바로 무주심(無住心) – 집착 없이, 어디에도 얽매이지 않는 수행의 정신입니다.
唯然世尊。願樂欲聞。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기꺼이 듣고자 하나이다.”
수보리는 다시금 겸손한 마음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겠다는 자세를 보입니다. 이는 수행자가 법을 대하는 태도의 모범이라 할 수 있습니다.
🪷 이 장이 주는 의미
이 장은 짧지만 수행자의 마음자세에 있어 가장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 어떻게 그 마음을 일으킬 것인가?
- 그 마음을 어떻게 지켜갈 것인가?
- 흔들림 없는 수행을 어떻게 할 것인가?
부처님은 "이와 같이 머물고, 이와 같이 다스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단순히 마음을 내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마음이 삶 속에서 어떻게 유지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깊은 통찰이 담긴 말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