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경전

금강경 번역가에 대한 정리

페이지85 2025. 4. 10. 08:38

금강경은 불교 경전의 가장 중요한 공(空)과 반야사상을 함축한 경전으로 지금도 널리 대중들에게 읽혀지고 있는 가장 유명한 경전입니다. 금강경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경중에 금강반야바라밀경으로 구마라즙 스님의 번역한 경전이 가장 많지만 

 보리유지, 진제, 달마굽타, 현장, 의정스님에 대해서는 아직 많이 알려진 자료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에 대한 간략하고 체계적인 자료 정리를 하고자 합니다. 이 인물들은 모두 인도와 중국 불교 전통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불경 번역과 전파에 기여했습니다.


1. 구마라즙 (Kumārajīva, 구마라습)

  • 생몰연도: 344? ~ 413년
  • 출신: 쿠차국 (현 중국 신장 지역)
  • 활동 지역: 중국 장안(長安)
  • 업적:
    • 중국 불교에서 가장 유명한 불경 번역가 중 한 명.
    • 한역 불경의 문장력을 크게 향상시킴.
    • 대표 번역서: 《금강경》, 《중론》, 《백론》, 《십이문론》 등.
    • 문체는 간결하고 명확하며 철학적 깊이가 있다.

2. 보리유지 (Bodhiruci, 菩提流支)

  • 생몰연도: 6세기 초 활동 (정확한 연대는 미상)
  • 출신: 인도
  • 활동 지역: 중국
  • 업적:
    • 율장과 논서 번역에 공헌.
    • 《십지경론》 등 여러 대승 논서 번역.
    • 중국 화엄종과 천태종 등 초기 대승불교의 발전에 영향.
    • 이름이 유사한 다른 '보리유지'가 있어서 구분 필요 (7세기에도 동일한 이름의 번역가 있음).

3. 진제 (Paramārtha, 眞諦)

  • 생몰연도: 499 ~ 569년
  • 출신: 인도
  • 활동 지역: 남중국 (양나라)
  • 업적:
    • 유식학(唯識學) 전파에 크게 기여.
    • 《구사론》, 《변중변론》 등 번역.
    • 유식 사상의 기초를 닦은 인물 중 하나로 평가됨.
    • ‘아뢰야식(阿賴耶識)’ 개념을 정착시킴.

4. 달마굽타 (Dharmagupta, 曇摩笈多)

  • 생몰연도: 4~5세기경
  • 출신: 인도
  • 활동 지역: 중국
  • 업적:
    • 율장 번역의 선구자.
    • 《사분율(四分律)》 번역으로 유명.
    • 이후 동아시아 불교계 율장의 표준이 됨.
    • 그의 이름을 딴 ‘담마굽타 율(曇無德律)’ 계통이 일본, 중국, 한국 승가의 계율 전통이 됨.

5. 현장 (Xuanzang, 玄奘)

  • 생몰연도: 602 ~ 664년
  • 출신: 중국
  • 활동 지역: 인도, 중국
  • 업적:
    • 당나라 때 인도로 구법여행, 17년간 유학.
    • 불타비야, 나란다 대학 등에서 유식학, 논리학을 수학.
    • 귀국 후 방대한 불경 번역: 《대반열반경》, 《대지도론》 등.
    • 유식학 정립, 《성유식론》 번역.
    • 여행기는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로 남음.
    • 소설 《서유기》의 실제 모델.

6. 의정 (Yijing, 義淨)

  • 생몰연도: 635 ~ 713년
  • 출신: 중국 당나라
  • 활동 지역: 인도, 수마트라, 중국
  • 업적:
    • 현장 이후의 대표적인 구법승.
    • 인도와 동남아 불교의 실태를 기록.
    • 저서: 《남해기귀내법전》, 《대당구법고승전》 등.
    • 불교계의 생활과 계율, 의례에 대한 귀중한 자료 제공.
    • 경전 번역에도 참여.

정리 도표 (간단 비교)

인물출신활동 시기주요 활동대표 업적
구마라즙 쿠차국 4세기 불경 번역 《금강경》 등
보리유지 인도 6세기 대승경전 번역 《십지경론》 등
진제 인도 6세기 유식학 전파 《구사론》 번역
달마굽타 인도 4~5세기 율장 번역 《사분율》 번역
현장 중국 7세기 인도 여행, 경전 번역 《대지도론》 등
의정 중국 7~8세기 인도/동남아 여행기 《남해기귀내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