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능정업장분 제십육(能淨業障分第十六)
能淨業障分第十六
능정업장분 제십육
復次須菩提。善男子善女人。受持讀誦此經。
또한 수보리야, 선남자와 선여인이 이 경을 수지하고 독송할 때,
若為人輕賤。是人先世罪業應墮惡道。
만약 사람들이 그를 업신여기고 천대한다면, 이는 그 사람이 전생의 죄업으로 마땅히 악도에 떨어질 것이었으나,
以今世人輕賤故。先世罪業則為消滅。
이 생에서 사람들이 그를 업신여김으로 인해 전생의 죄업이 소멸되느니라.
當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그리하여 그는 마땅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리라.
須菩提。我念過去無量阿僧祇劫。於然燈佛前。
수보리야, 나는 생각건대 과거 무량 아승기겁 동안, 연등불 앞에서
得值八百四千萬億那由他諸佛。
팔천사백만억 나유타의 여러 부처님을 친견하고
得值 – 만나게 되었다, 친견하게 되었다
那由他(나유타): 10의 60제곱 '무수히 많은' 또는 '불가사의한 수의'
悉皆供養承事無空過者。
모두 공양하고 받들어 모시되 빠뜨림 없이 하였느니라.
無空過者: 공허하게 지나친 바가 없다 – 하나도 헛되이 하지 않음
若復有人於後末世。能受持讀誦此經所得功德。
만약 또 어떤 사람이 미래 말세에 이 경을 수지하고 독송한다면 그가 얻게 될 공덕은
於我所供養諸佛功德。百分不及一。
내가 여러 부처님께 공양한 공덕의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며
千萬億分乃至算數譬喻所不能及。
천만억 분, 나아가 수를 계산하고 비유로 표현해도 미치지 못하느니라.
須菩提。若善男子善女人。於後末世有受持讀誦此經。
수보리야, 만약 선남자와 선여인이 미래 말세에 이 경을 수지하고 독송한다면
所得功德我若具說者。
그들이 얻게 될 공덕을 내가 자세히 말한다면
或有人聞心則狂亂狐疑不信。
어떤 이는 그것을 듣고 마음이 미쳐 어지럽고 의심하며 믿지 않을 수도 있으니
須菩提。當知是經義不可思議果報亦不可思議。
수보리야, 알아야 하느니라. 이 경의 뜻은 헤아릴 수 없으며 그 과보 또한 헤아릴 수 없느니라.
彌勒頌曰。
미륵보살께서 게송하셨다.
先身有報障 今日受持經
전생에 보장(報障)이 있었으나 오늘날 이 경을 수지하네
暫被人輕賤 轉重復還輕
잠시 사람에게 업신여김을 받아도 무거운 죄가 가벼워지네
若了依他起 能除遍計情
만약 의타기(依他起)를 깨달으면 편계의 집착을 제거하리라
常依般若觀 何慮不圓成
항상 반야의 관조에 의지하면 어찌 원만하게 이루지 못하랴
<해석>
유식학적 배경: "공양"과 "심식(心識)"의 정화
유식학은 **"모든 것은 오직 마음(識)일 뿐"**이라는 관점을 바탕으로, 깨달음의 길을 **심식(心識)**의 구조와 전환을 통해 설명합니다. 이 구절은 바로 심식의 정화와 전환 과정을 수행적 입장에서 보여준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을 수지하고 독송하는 수행자라 할지라도 다른 사람에게 업신여김을 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지 현재의 불행이 아니라, 과거생의 죄업이 소멸되는 과정임을 말합니다. 즉, 업의 청산이 '경전 수행'과 '세속의 시련'을 통해 동시에 이루어진다는 뜻입니다. 고통이 오히려 해탈로 가는 정화(淨化)의 계기가 되는 것이죠.
🔹 1. 供養承事와 유식학의 '전식득지(轉識得智)'
- **공양하고 섬긴다(供養承事)**는 행위는 단순한 예배가 아니라, **내면의 심식이 '변화되는 과정'**을 상징합니다.
- 유식학에서는 8식(八識), 즉 **아뢰야식(阿賴耶識, 저장식)**에 저장된 **업습(業習)**이, 수행을 통해 **전식득지(轉識得智)**로 변화된다고 설명합니다.
👉 다시 말해,
모든 공양과 수행 행위는 단지 외적 행동이 아니라, '아뢰야식 안의 오염된 종자(種子)'를 정화하는 내적 행위라는 거예요.
🔹 2. 無空過者 = 無漏의 지혜적 실천
- **無空過者(헛되이 지나친 바가 없다)**는 유식적으로 보면 "無漏行(무루행)", 즉 번뇌가 섞이지 않은 청정한 행위를 말합니다.
- 즉, 부처님은 일체의 공양과 수행을 모두 '지혜로 행하셨다', 다시 말해 식(識)을 전환하여 지(智)를 얻는 수행을 한 치의 헛됨 없이 실천하셨다는 의미입니다.
🔹 3. 일체 경계는 '의타기성(依他起性)'
- 유식학에서는 모든 현상이 본래 **의타기성(依他起性)**으로 생긴다고 봅니다.
- 이 구절에서 말하는 ‘모든 부처님께 공양했다’는 사실 자체가 의타기성의 실천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왜냐하면 ‘나’와 ‘부처님’도 본래는 **연기된 존재(의타기)**이며,
- 그 관계 속에서 공양과 섬김이 수행으로 작용하니까요.
'의타기(依他起)'란 만물이 연기(緣起)로 일어난다는 깨달음. 이를 이해하면, **집착하고 분별하는 마음(遍計執性)**을 제거할 수 있다는 말입니다. 불교 유식사상의 핵심 논리입니다.
🔹 수행적 의미즉,
🔹 현대적 적용
- "당신이 만나는 모든 가르침(스승, 책, 상황)을 소중히 여기라."
- "하찮은 인연도 헛되이 넘기지 말고, 거기서 진리의 씨앗을 찾아라."
- "꾸준히, 빠짐없이, 정성껏 실천하라."
-
- 이 구절은 오늘날 우리 수행자나 불자를 향해서도 말해줍니다:
- ✔︎ 수행의 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함과 정성, 그리고 공경심이다.
- 이 구절은 부처님의 정진이 얼마나 철저하고 성실했는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대목입니다.
→ 이를 통해 **“깨달음은 우연히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무수한 인연과 정성의 결과이다”**라는 것을 강조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