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약사여래불 연구
약사여래불 연구
1. 서론
대승불교는 모든 중생의 깨달음을 강조하며 보살의 길을 걷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이는 스스로의 해탈뿐만 아니라 타인의 구원을 위해 노력하는 이타적인 수행을 의미하며, 이러한 이상을 구현하는 존재가 바로 보살이다. 궁극적인 깨달음을 얻은 존재는 부처로 존경받으며, 대승불교에서는 다양한 부처들이 각기 다른 정토세계를 주관한다고 믿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약사여래불은 중생의 질병과 고통을 치유하는 부처로서 동아시아, 특히 한국 불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약사여래는 단순히 육체적인 질병뿐만 아니라 정신적, 영적인 고통까지 치유하는 능력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 그의 정토는 동방의 정유리세계 또는 묘유세계로 불리며, 깨끗하고 고통 없는 이상적인 세계로 묘사된다 . 약사여래 신앙은 중생에게 현세의 이익, 즉 질병 치유, 수명 연장, 재앙 소멸 등을 가져다준다고 믿어져 널리 퍼져나갔다 . 한국 불교에서도 약사여래는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미륵보살과 함께 중요한 네 부처 중 하나로 오랫동안 신앙되어 왔다 . 육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괴로움까지 포괄적으로 치유 대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약사여래 신앙은 인간의 온전한 행복을 추구하는 불교적 관점을 반영한다. 이는 고통의 근원을 탐구하고 그로부터 벗어나는 길을 제시하는 불교의 핵심 가치와 일맥상통한다.
본 보고서는 약사여래불에 대한 종합적인 학술적 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약사여래 신앙의 역사적 기원과 발전, 동아시아에서의 전개, 약사여래의 형상과 상징, 불교 미술 및 건축에서의 역할, 철학적 및 신학적 기반, 한국 불교에서의 특징, 관련 의례 및 수행법, 그리고 한국 사회와 문화에 미친 영향 등을 심층적으로 탐구할 것이다.
2. 약사여래 신앙의 역사적 기원
약사여래 신앙의 가장 중요한 경전적 근거는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藥師琉璃光如來本願功德經), 일반적으로 《약사경》으로 알려진 경전이다 . 이 경전의 산스크리트어 원본은 7세기 이전의 것으로 추정되며, 아프가니스탄의 바미얀과 파키스탄의 길기트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 이 지역은 과거 간다라 불교 왕국의 일부였으며, 헬레니즘 문화와 인도 문화가 융합된 독특한 예술 양식을 꽃피웠던 곳이다. 간다라 지역에서 초기 《약사경》 사본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약사여래 신앙의 형성에 있어 이 지역의 문화적 교류가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간다라 미술은 불교 도상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므로, 약사여래의 초기 형상이나 《약사경》 자체의 형성에 문화적 교류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일부 학자들은 역사적 부처인 석가모니가 세상의 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온 의사로 묘사된 초기 불교 경전과의 연관성을 통해 약사여래 신앙의 기원을 추적하기도 한다 . 미래의 약사여래가 보살로서 수행하던 시절에 세운 열두 가지 큰 서원(十二大願)은 이 신앙의 핵심 내용을 이룬다 . 이 서원들은 중생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없애고, 물질적 필요를 충족시키며, 대승의 길로 인도하고, 긍정적인 윤회를 보장하겠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약사경》은 중국으로 전래되어 여러 차례 번역되었다. 현장(玄奘)과 의정(義淨)과 같은 유명한 번역가들이 다양한 버전의 《약사경》을 한역했으며 , 이는 중국 불교 내에서 약사여래 신앙의 중요성이 점차 커져갔음을 보여준다 . 특히 돈황 지역에서는 약사여래 관련 문헌과 그림이 다수 발견되어 이 지역에서 약사 신앙이 널리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다양한 번역본의 존재는 시간이 흐르면서 중국 불교 내에서 약사여래의 가르침과 속성이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되고 강조되었음을 시사한다. 각 번역본을 비교 분석하는 것은 약사여래 신앙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한반도에는 삼국시대부터 약사 신앙이 전래된 것으로 보인다 . 《삼국유사》에는 밀본 법사가 신라 선덕여왕의 병을 치유할 때 《약사경》을 언급한 기록이 있어 , 이미 이 시기에 약사여래 신앙이 알려져 있었고 치병의 효험이 있다고 여겨졌음을 알 수 있다. 통일 이전부터 한반도에 약사 신앙이 수용되었다는 사실은 당시 사람들과 지배층이 건강과 행복에 대한 강한 염원을 가지고 있었으며, 약사여래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는 존재로 인식되었음을 보여준다.
3. 동아시아에서의 약사여래 신앙 발전
중국에서는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약사 신앙이 크게 발전하고 번성했다 . 이 시기에는 약사여래가 약병과 지팡이를 든 독특한 도상이 발전했으며 , 대규모 약사여래상이 제작되고 국가적인 행사에도 약사 신앙이 통합되었다 . 또한 약사여래의 열두 신장(神將)이 하루의 열두 시간과 중국의 십이지(十二支)와 연결되기도 했다 . 중국에서 수당 시대에 불교의 영향력이 커지고 예술적 혁신이 이루어진 시기와 약사 신앙의 전성기가 일치한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사회 전반의 번영과 문화적 역동성이 건강과 행복에 대한 관심 증대와 함께 약사여래 신앙의 확산과 발전에 기여했음을 시사한다.
일본에서는 헤이안 시대(794-1185)에 약사여래 신앙이 절정에 달했다 . 이는 일본 불교가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고 문화적, 종교적으로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던 시기이다. 야쿠시지(薬師寺)와 같은 약사여래를 모신 중요한 사찰들이 건립되었으며 , 야쿠시는 일본 불교의 추도 의식에도 통합되었다 . 헤이안 시대 일본에서 야쿠시 신앙이 강하게 나타난 것은 당시의 문화적, 종교적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기존의 토착 신앙이나 치유와 관련된 믿음과 융합되거나 이를 대체하면서 일본적인 불교 신앙으로 정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한국 불교 발전 과정에서 약사여래 신앙은 특히 통일신라 시대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시기에는 약사여래가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미륵보살과 함께 네 명의 주요 부처 중 하나로 널리 신앙되었다 . 분황사에는 거대한 약사여래상이 조성되었으며 , 많은 사찰에 약사전이 건립되었다 . 약사 신앙은 특히 질병 치유와 수명 연장과 같은 현세적 이익을 추구하는 신앙으로 여겨졌으며, 이는 어려운 시기에 더욱 두드러졌다 . 또한 밀교의 영향이 한국 약사 신앙 발전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 통일신라 시대는 강력한 중앙 집권 국가와 번성한 불교 문화로 특징지어지며, 이 시기에 약사여래 신앙이 널리 퍼진 것은 국가와 백성의 안녕에 대한 종교적 믿음이 깊이 연관되어 있었음을 시사한다. 거대한 약사여래상 건립은 국가 전체의 보호와 치유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었을 수 있다.
4. 약사여래불의 형상과 상징
약사여래는 일반적으로 청색 또는 녹색의 피부색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치유와 순수함을 상징하는 보석인 라피스 라줄리(청금석)를 나타낸다 . 좌선 자세로 앉아 있는 모습이 흔하며 , 오른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을 취하여 두려움을 없애주고 자비심을 베푸는 것을 상징한다 . 왼손은 선정인(禪定印)을 취하거나 약병과 같은 특정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가 많다 . 약사여래를 청색(라피스 라줄리)과 지속적으로 연관시키는 것은 이 귀한 보석의 상징적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는 고대 사회에서 치유와 순수함과 자주 연결되었다. 이러한 시각적 연결은 약사여래의 주요 기능을 명확히 보여준다.
약사여래를 식별하는 가장 중요한 상징은 왼손에 든 약병 또는 약기(藥器)이다 . 이 용기는 중생의 고통을 덜어주는 약이나 허브를 담고 있으며 , 때로는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지는 미로발란(myrobalan) 식물이 자라나는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 약병 또는 약기는 약사여래의 주요 속성으로서 치유자로서의 역할을 직접적으로 나타낸다. 용기에 담긴 내용물(감로수, 약초, 미로발란)의 차이는 지역적 또는 시대적 의학 지식 및 상징성의 차이를 반영할 수 있다.
약사여래는 일반적으로 일광보살(日光菩薩, Suryaprabha)과 월광보살(月光菩薩, Candraprabha)을 협시보살로 거느리며 삼존불의 형태를 이룬다 .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은 각각 해와 달의 빛을 상징하며, 어리석음과 고통의 어둠을 밝히는 지혜와 자비의 빛을 나타낸다 . 약사여래와 일광보살, 월광보살의 삼존 구성은 불교적 치유가 지혜와 자비라는 두 가지 근본적인 측면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해와 달이 지혜와 자비를 나타낸다는 점은 고통을 완화시키는 약사여래의 역할이 단순히 의학적인 행위를 넘어 정신적, 영적인 차원까지 포괄하는 것임을 강조한다.
약사여래불(藥師如來佛)은 동방정유리세계의 교주로서, 중생의 질병과 고통을 치유하는 부처님입니다. 그의 좌우에는 협시보살인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이 모셔져 있습니다. 이 두 보살은 각각 태양과 달의 빛을 상징하며, 중생들에게 광명과 지혜를 비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은 약사여래불의 보처보살로서, 그의 가르침과 자비를 중생들에게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삼존불 형식은 약사신앙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약사여래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이 배치되는 형태를 취합니다.
약사여래불과 협시보살에 대한 신앙은 통일신라 시대부터 성행하였으며, 이는 약사전이나 유리보전과 같은 전각에 봉안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신앙은 중생들의 질병 치유와 건강한 삶을 기원하는 현세이익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지역과 시대에 따라 약사여래의 도상에는 약간의 차이가 나타난다. 중국에서는 때때로 탑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시방삼세의 모든 부처를 상징한다 . 티베트에서는 약효가 있는 미로발란 열매를 들고 있는 경우가 많다 . 한국에서는 오른손에 시무외인을, 왼손에 약병을 든 독특한 수인을 취하는 모습도 발견된다 . 약사여래의 도상에 나타나는 지역적 변이는 다양한 문화적 맥락과 예술적 전통에 대한 신앙의 적응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이들은 해당 지역의 의료 관행이나 특정한 상징적 의미를 반영할 수 있다.
5. 불교 미술 및 건축에서 약사여래불의 역할과 의미
한국 불교 조각에서 약사여래는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어 왔다. 초기 한국 불교 조각은 간다라 미술의 영향을 받았으며 , 이후 한국 고유의 양식으로 발전했다 . 팔공산 갓바위에 있는 석조 약사여래좌상은 대표적인 예로, 많은 이들이 찾는 중요한 순례지이다 . 이 외에도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과 같은 주목할 만한 작품들이 있다 . 팔공산 갓바위는 단순한 종교적 상징을 넘어 치유와 축복을 염원하는 수많은 사람들의 희망과 기도를 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산이라는 자연적인 장소에 신성한 의미를 부여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믿음과 약사여래 신앙이 결합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사찰의 약사탱화는 주로 약사전에 봉안된다 . 연화대좌에 앉아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거느린 약사여래를 중심으로 묘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 후대에는 보다 화려한 권속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발전하기도 했다 . 약사탱화의 일관된 구도는 한국 불교 내에서 약사여래에 대한 핵심적인 도상과 신학적 이해를 강화한다. 시대에 따른 복잡성의 변화는 신앙 행위나 예술 양식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한국 사찰에는 약사여래를 특별히 모시는 전각인 약사전이 존재한다 . 약사전은 종종 본당의 동쪽에 위치하며 , 이는 사찰 전체에서 약사 신앙의 중요성을 반영한다 . 한국 사찰 내에 약사여래를 위한 별도의 전각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한국 불교의 신앙 체계 내에서 이 부처의 중요한 위치를 강조하며, 치유와 축복을 구하는 신도들에게 중심적인 예배 공간을 제공한다.
간다라 미술은 불교의 인물 형상화를 처음 시도한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였다 . 초기 간다라 미술에서 약사여래나 이와 관련된 치유의 신이 묘사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 간다라 미술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불교 미술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초기 간다라 미술에서 약사여래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기는 어려울 수 있지만 , 이 지역의 불교 도상학 발전은 이후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약사여래의 형상이 나타나고 정형화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6. 약사여래불의 본원과 수행에 대한 철학적, 신학적 논문 탐색
약사여래의 열두 가지 큰 서원(十二大願)은 그의 보살 시절의 원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치유와 행복에 대한 깊은 의미를 담고 있다 . 이 서원들은 육체적, 정신적 고통의 경감, 물질적 필요의 충족, 대승불교로의 인도, 긍정적인 윤회의 보장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 현세에서의 이익을 강조하는 특징을 보인다 . 약사여래의 열두 서원은 깨달음이라는 궁극적인 목표와 함께 현세의 구체적인 고통을 해결하고자 하는 실천적이고 자비로운 대승불교의 이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현실적인 이익에 대한 강조는 약사 신앙이 널리 퍼진 중요한 이유 중 하나일 것이다.
약사여래는 동방 정유리세계의 주재자이다 . 이 정토는 고통이 없고 영적인 발전이 용이한 깨끗하고 밝은 세계로 묘사되며 , 약사여래에 대한 신앙을 통해 이곳에 왕생할 수 있다고 믿어진다 . 약사여래와 관련된 동방 정토는 치유와 행복에 전념하는 세계의 비전을 제시하며, 이는 약사여래 자신의 핵심 속성을 반영한다. 이 정토에 대한 왕생의 염원은 신도들에게 강력한 동기가 된다.
약사여래는 모든 종류의 질병을 치유하는 위대한 의사(大醫王佛)로 여겨지며 , 재앙을 소멸시키고 수명을 연장하며 소원을 성취시키는 능력을 지닌 것으로 믿어진다 . 또한 다양한 두려움과 부정적인 운명으로부터 보호해 준다고 여겨진다 . 질병 치유뿐만 아니라 재앙을 막고 수명을 늘리는 약사여래의 다면적인 역할은 신도들이 추구하는 이익의 포괄적인 성격을 강조한다. 이는 부처가 그들의 삶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믿음을 시사한다.
7. 한국 불교에서 약사여래 신앙의 특징과 사례
한국 약사여래 신앙은 초기부터 한국 불교에 깊숙이 통합되었으며 , 왕실의 후원과 민간 신앙 모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 한국 약사 신앙은 기존의 한국 토착 신앙과 융합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 한국 사회에 약사여래 신앙이 깊이 뿌리내린 것은 왕실의 후원부터 민간의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확인된다. 이는 한국 종교 문화 내에서 약사 신앙이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현지화되었음을 시사하며, 기존의 믿음의 요소를 통합했을 가능성도 있다.

한국 불교에서 약사여래와 관련된 일반적인 의례와 행사로는 음력 8일에 지켜지는 약사재일이 있다 . 이 외에도 질병과 불운을 막기 위해 《약사경》을 독송하거나 등불을 밝히고 방생하는 등의 수행이 행해진다 . 치유에 초점을 맞춘 약사회와 같은 신도들의 모임도 존재한다 . 한국에서 약사여래와 관련된 특정 의례와 수행은 신도들이 그의 축복을 구하고 그의 서원을 실천하는 적극적인 참여를 보여준다. 정해진 성일과 신도회의 존재는 이 신앙 전통의 조직적인 성격을 강조한다.
한국에서는 약사여래의 명호(염불)를 외우는 것이 일반적인 수행법이다 . 부처의 이름을 듣고 외우는 것이 축복을 가져오고, 부정적인 상태를 없애며, 긍정적인 윤회로 이어진다고 믿어진다 . 정화와 치유를 위한 진언(만트라) 염송도 행해진다 . 약사여래의 명호와 진언을 외우는 것에 대한 강조는 불교의 일반적인 신앙 행위를 반영하며, 소리와 반복이 정신과 육체에 변화와 치유 효과를 가져다준다고 믿어진다.
8. 약사여래 신앙이 한국 사회와 문화에 미친 영향
한국에서 불교와 의학은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으며 , 사찰은 때때로 병원이나 양로원 역할을 하기도 했다 . 불교의 건강과 질병에 대한 개념이 한국 전통 의학 사상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있다 . 한국에서 불교와 의학이 역사적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는 점은 약사 신앙이 한국 전통 의학의 발전과 질병에 대한 이해 및 치료법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질병, 재앙,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약사여래에 대한 신앙은 큰 의지가 되었다 . 전쟁, 기근, 전염병과 같은 어려운 시기에 사람들은 약사여래에게 귀의했으며,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국가의 안녕을 위해 약사 신앙을 후원하기도 했다 . 동화사 통일대불은 남북통일과 세계 평화를 기원하기 위해 건립된 대표적인 약사여래상이다 . 개인적인 고난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위기 상황에서도 약사여래에 의지했다는 사실은 이 부처가 희망과 위안의 원천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이는 약사여래가 대규모로 보호와 치유를 제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반영한다.
현대 한국 사회에서도 약사전은 여전히 많은 사찰에 존재하며 , 《약사경》 독송과 치유 및 축복을 구하는 행위는 계속되고 있다 . 약사여래 신앙은 현대 사회에서 전인적인 치유와 행복의 맥락에서 새롭게 해석되기도 한다 . 현대화와 세속화에도 불구하고 약사여래 신앙은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질병과 고통에 직면했을 때 위안, 치유, 영적 지침의 원천으로서 그 지속적인 매력을 보여준다.
9. 결론
약사여래불은 동아시아, 특히 한국 불교에서 중생의 고통을 치유하고 현세의 행복을 가져다주는 중요한 부처로 깊이 신앙되어 왔다. 그의 역사적 기원은 인도에서 비롯되었으나, 중국과 일본을 거쳐 한국에 이르러 독특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약사여래의 형상과 상징은 그의 치유 능력을 시각적으로 드러내며, 불교 미술과 건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그의 열두 가지 큰 서원은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고자 하는 자비로운 마음을 보여주며, 동방 정유리세계는 고통 없는 이상적인 세계를 제시한다. 한국 불교에서 약사여래 신앙은 왕실과 민간 모두에게 깊이 뿌리내렸으며, 다양한 의례와 수행을 통해 그 신앙심이 표현되어 왔다. 질병, 재앙,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사람들은 약사여래에게 의지했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그의 가르침과 상징은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위안과 희망을 주고 있다. 약사여래 신앙은 단순한 종교적 믿음을 넘어 한국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쳐 깊은 영향을 미쳐온 중요한 정신적 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표 1: 약사여래불의 십이대원 (十二大願)
1 | 광명보조원 (光明普照願) | To illuminate countless realms with his radiance, enabling anyone to become a Buddha just like him. | 자신의 빛으로 무수한 세계를 비추어 모든 중생이 자신과 같이 부처가 되게 하겠다는 서원 | 6 |
2 | 수의혹변원 (隨意或辨願) | To awaken the minds of sentient beings through his light of lapis lazuli. | 청금석 빛으로 모든 중생의 마음을 깨우쳐 지혜를 얻게 하겠다는 서원 | 6 |
3 | 시무진물원 (施無盡物願) | To provide the sentient beings with whatever material needs they require. | 모든 중생에게 필요한 물질을 부족함 없이 베풀어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겠다는 서원 | 6 |
4 | 안립대승원 (安立大乘願) | To correct heretical views and inspire beings toward the path of the Bodhisattva. | 모든 중생을 대승의 길로 인도하고 그릇된 견해를 버리게 하겠다는 서원 | 6 |
5 | 구계청정원 (具戒淸淨願) | To help beings follow the Moral Precepts, even if they failed before. | 모든 중생이 청정한 계율을 지키고 잘못을 저지른 경우에도 참회하여 다시 깨끗함을 얻게 하겠다는 서원 | 6 |
6 | 제근구족원 (諸根具足願) | To heal beings born with deformities, illness, or other physical sufferings. | 모든 신체적 장애와 질병을 치유하여 온전한 감각 기능을 갖게 하겠다는 서원 | 6 |
7 | 제병안락원 (除病安樂願) | To help relieve the needy and the sick. | 모든 고통을 없애고 중생에게 평화와 행복을 가져다주겠다는 서원 | 6 |
8 | 전여득불원 (轉女得佛願) | To help women who wish to be reborn as men achieve their desired rebirth. | 여성이 남성으로 태어나기를 원할 경우 그 소원을 이루어 궁극적으로 부처가 되게 하겠다는 서원 | 6 |
9 | 안립정견원 (安立正見願) | To help heal mental afflictions and delusions. | 모든 부정적인 정신 상태와 망상으로부터 중생을 해방시키고 올바른 견해를 확립하게 하겠다는 서원 | 6 |
10 | 제난해탈원 (濟難解脫願) | To help the oppressed be free from suffering. | 각종 재난, 억압, 고통으로부터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서원 | 6 |
11 | 포식안락원 (飽食安樂願) | To relieve those who suffer from terrible hunger and thirst. | 모든 중생의 굶주림과 갈증을 해소시키겠다는 서원 | 6 |
12 | 미의만족원 (美衣滿足願) | To help clothe those who are destitute and suffering from cold and mosquitoes. | 가난하고 추위와 모기에 시달리는 이들에게 좋은 옷과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겠다는 서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