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입문

3) 신중과 칠성탱

페이지85 2025. 3. 30. 18:18

1. 신중탱화란?

신중탱화(神衆幀畵)는 불교 의식과 수행을 보호하는 신장(神將)과 신중(神衆)들을 그린 불교 회화이다. 불법(佛法)을 수호하고 수행자와 사찰을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 한국 불교에서는 의식 수행 공간인 법당 내부 또는 외부에 걸어두고 법회를 진행할 때 그 앞에서 의식을 올리는 경우가 많다.

2. 신중탱화의 유래와 역할

  • 신중(神衆)은 본래 인도와 중국의 토착신앙에서 유래한 신격이 불교에 수용되면서 불법을 보호하는 역할을 맡게 된 존재들이다.
  • 신중탱화는 주로 밀교(密敎)와 관련이 깊으며, 특히 의식 불교가 발달한 조선 시대 이후 한국 불교에서 많이 제작되었다.
  • 주로 법당 내부에 걸려 있으며, 신중기도(神衆祈禱)와 같은 특정한 불교의식에서 신앙의 대상으로 숭배된다.

3. 신중탱화의 구성

신중탱화는 다양한 신장과 천신(天神)들이 등장하며, 그중 대표적인 신격은 다음과 같다.

  1. 제석천(帝釋天)
    • 인도 신화에서 유래한 신격으로, 불교에서는 불법을 보호하는 신장 중 하나이다.
    • 일반적으로 하늘의 왕좌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2. 범천(梵天)
    • 우주의 창조신이며, 불교에서는 붓다에게 법을 청한 존재로 묘사된다.
    • 신중탱화에서 제석천과 함께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3. 사천왕(四天王)
    • 동방 지국천(持國天), 남방 증장천(增長天), 서방 광목천(廣目天), 북방 다문천(多聞天)의 네 명의 수호신이다.
    • 각기 다른 무기를 들고 있으며, 중생을 보호하고 악을 물리치는 역할을 한다.
  4. 팔부신장(八部神將)
    • 불법을 수호하는 8가지 종류의 신장으로, 용왕(龍王), 야차(夜叉), 건달바(乾闥婆), 가루라(迦樓羅) 등이 포함된다.
    • 『법화경(法華經)』 등의 경전에 등장하며, 불법을 지키는 임무를 맡고 있다.
  5. 위태천(韋駄天)
    • 사찰의 수호신으로, 불법을 수호하고 사찰의 안전을 책임지는 신장이다.
    • 보통 갑옷을 입고 검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진다.

4. 신중탱화의 특징

  • 화려한 색채와 장엄한 구도
    신중탱화는 신성한 존재들을 표현하기 위해 금색, 붉은색, 푸른색 등 강렬한 색상이 사용된다.
  • 위엄 있는 모습과 다양한 표정
    신장들은 무기를 들고 있으며, 험상궂거나 강렬한 표정을 하고 있어 악귀를 물리치는 존재임을 강조한다.
  • 대칭적 구성과 다층적 배열
    중심에는 제석천과 범천이 위치하고, 그 주위로 사천왕과 팔부신장 등이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5. 대표적인 신중탱화 사례

    1. 서울 봉은사 신중탱화 (조선 후기)
      • 봉은사 대웅전에 봉안된 신중탱화는 조선 후기인 1844년(헌종 10년)에 제작된 불화로, 불법을 수호하는 다양한 신중(神衆)들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이 신중도는 비단 바탕에 채색된 작품으로, 세로 200cm, 가로 245cm의 크기를 지니며, 화면 상단에는 구곡병(九曲屛)을 배경으로 좌측에 위태천과 천룡팔부의 신장들을, 우측에는 범천과 제석천을 비롯한 천부중을 배치한 독특한 구성을 보여줍니다.
      • 화려한 색채와 정교한 묘사가 특징이며, 18세기 조선 불화의 전형을 보여준다.
    2. 강원도 월정사 신중탱화
      • 사천왕이 정교하게 묘사되어 있으며, 법회를 위한 신중기도에서 활용된다.

월정사 신중탱화는 다양한 신중(神衆)들을 묘사한 불화로, 불법을 수호하는 신장들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중탱화는 법당 내부에 봉안되어 있으며, 불교 의식과 신앙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3. 경주 불국사 신중탱화

  • 다양한 신장들이 등장하며, 조선 후기 불화 양식을 따른다.

대웅보전 신중탱화

중앙의 동진 보살 , 좌측 의 대 범천왕 , 우측 의 제석천 왕 이 중심 구도를 이루고 있으며 , 그 아래 왼쪽 부터 사갈라 용왕 , 남방 · 동방 · 북방 서방 천왕 과 엄마라왕 을 배치 하고 그 위로 좌측 부터 청 제재 금강 주산신 主山神 · 호계 대신 · 북덕 대신, 주 조신 主神  · 벽독 금강 과 6 위 의 천동 과 천녀 를 표현 했다 . 

대광보전 신중탱

비교적 대형 에 속하는 신중탱 으로 상부 중앙 에 마혜 수라 천왕 , 좌측 에 대범천 왕 , 우측 에 제석천 왕 을 그렸다 . 그 아래 로 중앙 에 동진 보살 이 위치하고 있다 . 앞줄 하단에는 좌측 부터 호계 대신 , 남방 · 동방 천왕 , 공덕 천왕 , 변재 천왕 , 북방 · 서방 천왕 , 복덕 대신 을 그리고 중단에는 왼쪽 부터 하방 박 라파 다라 대명 왕 · 서 북방 마가 마라 대명 왕 · 동남방 탁지 라야 대명 왕서방 발납 마달가 대명 왕 · 등 방대 아좌 라 낭타 대명 왕 · 상방 오니 쇄작 흘라 박리제 대명 왕 을 그렸다. 상단에는 좌 로부터 주조신 · 도장신 這場 神 · 주목신 主 木 神 · 주화신 · 염마라왕 · 사갈라 용왕 · 주금신 主金神 · 주토신 主土神 · 가람신 伽藍 神 · 주산신을 그리고 , 그 위에 좌 로부터 녹존성 군 · 탐랑성 군 · 일궁 천자 一 宮 天子 · 월궁 천자 月宮 天子 ・ 거문 성군 · 문곡성군 을 그렸다 . 그 밖에 16 위 의 천동 과 천녀 가 번당 , 일산 , 다과 등 공양구 를 올리고 있다 .

 

영산전 신중탱

동진보살을 중심으로상단중앙에 마혜수라천왕을 그리고 하단에는 좌로부터 남방천왕, 동방천왕, 공덕천왕, 호계대신, 복덕대신, 변재천왕, 북방천왕, 서방천왕을 그렸다. 그 위에 좌로부터 도장신, 견뢰지신, 주수신, 주화신, 주금신, 주목신, 보리수신, 가람신을 그렸다. 다시 상단좌로부터 가루라왕, 일궁천자 사갈라용왕, 주조신, 주산신, 염마라왕, 월궁천자, 주토신을 배치했다. 그 밖에 당번과 악기를 든 10위의 천둥이 있다.

 

 대한 제국 말 제작 된 신중탱 중 짜임새 있고 정연 하게 그린 대표작 으로 1901 년 정연 스님 이 출초 했다 . 대광보전 칠성탱 치성광 불과 일광 보살 · 월광 보살 · 삼태성 을 중앙 에 그리고 하단 좌측 에 28 수 중 14 위와 남방 천왕 , 우측 에 나머지 14 위와 서방 천왕 을 그렸다 . 상단 좌측 에 는 칠성 여래 중 3 위와 칠원 성군 · 동방 천왕 을 그리고 우측 에는 칠성 여래 중 4 위와 육성 · 북방 천왕 을 그렸다 . 19 세기 후반 제작 으로 추정 되며 금어 로 는 선율 , 상열 , 금호 , 기예 , 정민 , 헤호 등 5 인의 스님 이 참여 했다 . 칠성탱 은 일반적 으로 칠성신 을 봉안 한 칠성각 이나 산신각 또는 삼성각에 봉안된다.

 

6. 신중탱화의 의미와 신앙적 가치

  • 신중탱화는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불교 의식을 수행하는 공간을 신성화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법당에 걸려 있는 신중탱화 앞에서 신중기도를 올리며, 불자들은 신장의 가피를 받아 수행을 원만하게 이끌어 갈 것을 기원한다.
  • 신중탱화는 밀교적 요소가 강하며, 수행자들이 악귀를 물리치고 불법을 수호하는 정신을 기릴 수 있도록 돕는다.

결론

신중탱화는 불법을 보호하는 다양한 신장들이 등장하는 불화로, 불교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신격들이 등장하며,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하면서 불교 신앙을 더욱 깊이 있게 만든다. 신중탱화는 예술적으로도 뛰어난 가치를 가지며, 불교 회화 연구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