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3장 불화로 보는 부처님의 생애, 세 번째: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페이지85 2025. 3. 31. 16:08

예산 용문사 소장 팔상성도 - 세 번째: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은 팔상성도(八相成道)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이 출가를 결심하는 계기가 된 중요한 사건을 묘사한 장면입니다.


사문유관

1. 사문유관상의 의미

"사문유관(四門遊觀)"이란 **"네 개의 문을 돌아보며 세상의 고통을 깨닫는 과정"**을 뜻합니다.
석가모니는 카필라국(迦毘羅國)의 왕자로서 궁궐에서 부족함 없이 생활했지만, 네 개의 성문(城門)을 나서면서 인간 세계의 실상을 직접 목격하게 됩니다.

① 동서남북 네 개의 문을 지나며 목격한 것

동문(東門) – 노인(老人)

  • 처음 동문을 나서자 등이 굽고 힘없이 걸어가는 노인을 발견합니다.
  • 이는 인간이 늙음을 피할 수 없는 존재임을 깨닫는 순간입니다.

남문(南門) – 병자(病者)

  • 남문을 나서니 고통스럽게 앓고 있는 병자를 보게 됩니다.
  • 이를 통해 인간은 병의 고통을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서문(西門) – 시체(死人)

  • 서문을 지나가다 장례 행렬과 죽은 시체를 목격합니다.
  • 이를 통해 모든 생명은 결국 죽음을 맞이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습니다.

북문(北門) – 사문(沙門, 수행자)

  • 마지막으로 북문을 나섰을 때 수행에 전념하는 출가 수행자(사문, 沙門)를 만납니다.
  • 그를 보고 석가모니는 **"노병사의 고통에서 벗어나려면 출가하여 수행해야 한다"**는 깨달음을 얻게 됩니다.

2. 예산 용문사 소장 팔상성도의 사문유관상 특징

① 화면 구성

  • 보통 화면은 네 개의 장면(동서남북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배치됩니다.
  • 궁궐에서 나온 태자(석가모니)가 마차를 타고 성문을 지나면서 각각의 사건을 목격하는 모습이 등장합니다.
  • 네 개의 사건(노인, 병자, 시체, 수행자)이 그림의 주요 요소로 배치됩니다.

② 석가모니의 모습

  • 태자는 화려한 왕자의 복장을 한 채 마차를 타거나 말을 타고 이동하는 모습으로 표현됩니다.
  • 놀라거나 충격받은 표정을 짓고 있으며, 이를 지켜보는 시종들의 모습도 함께 등장합니다.
  • 특히, 북문에서 만난 수행자(사문)를 바라보는 태자의 모습이 강조됩니다.
  • 이때 태자의 표정은 고뇌하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이는 출가를 결심하는 순간을 암시합니다.

③ 색감과 분위기

  • 황금색과 붉은색이 섞인 왕자의 복장이 부각되며,
  • 어두운 색감의 배경을 통해 인간의 고통(노병사)을 강조하는 구도가 자주 사용됩니다.
  • 수행자의 모습은 조용하고 평온한 분위기로 표현되며, 태자의 내적 변화를 극적으로 대비시킵니다.

3. 사문유관상의 교훈과 의미

"인간은 늙고(老), 병들며(病), 결국 죽음을 맞이한다(死)."
"이 고통에서 벗어날 방법을 찾으려면 수행자의 길을 가야 한다."
"출가는 단순한 탈출이 아니라,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새로운 길을 찾는 과정이다."


4. 결론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은 팔상성도에서 부처님의 출가 결심을 묘사하는 중요한 장면입니다.
예산 용문사 팔상성도에서도 태자가 마차를 타고 네 개의 문을 지나면서 각각의 장면을 목격하는 모습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