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용문사 팔상성도 중 수하항마상에 해당하는 이 불화는 3폭의 설산수도상과 함께 포함되어 있습니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성도(깨달음)를 이루는 과정에서 마왕의 방해를 물리치는 장면을 묘사한 것입니다. 이 그림은 부처님이 보리수 아래에서 깊은 수행 중 마왕의 유혹과 공격을 이겨내고 깨달음을 얻는 순간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수하항마상의 구성:
- 마왕의 유혹과 공격: 부처님의 수행을 방해하기 위해 마왕은 세 딸을 보내 유혹하고, 군대를 동원해 물리적 공격을 감행합니다.
- 부처님의 승리: 이러한 방해에도 부처님은 흔들리지 않고, 마왕의 공격을 물리치며 성도에 이릅니다
수하항마상(須哈航魔像)**은 스리랑카에서 유래된 불교 예술 작품으로, 석가모니 부처님이 성도(깨달음)를 이루는 과정에서 마왕의 방해를 물리치는 장면을 묘사한 것입니다. 이 상은 대개 불교 탱화나 벽화에서 나타나며, 여러 가지 상징과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수하항마상의 주요 요소 및 상징
- 부처님(석가모니):
- 표현: 수하항마상에서 부처님은 보리수 아래에 앉아 있으며, 평온하고 단호한 표정으로 묘사됩니다. 이는 그가 깊은 수행 상태에 있으며, 어떤 외부의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 의미: 부처님의 이러한 모습은 성도에 이르기 위한 결심과 집중을 상징합니다.
- 마왕(마라):
- 표현: 마왕은 부처님을 방해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보통 마왕은 여러 무리를 거느리고, 부처님에게 공격을 감행하는 장면으로 묘사됩니다. 그의 모습은 종종 격렬하고 위협적으로 그려집니다.
- 의미: 마왕은 인간의 마음속에 있는 두려움, 유혹, 그리고 고통을 상징합니다. 이는 부처님이 성도를 이루기 위해 극복해야 할 내적인 장애물을 의미합니다.
- 마왕의 유혹:
- 세 딸의 유혹: 마왕은 종종 자신의 세 딸을 보내 부처님을 유혹하려고 합니다. 이들은 아름다운 모습으로 부처님에게 접근하지만, 부처님은 이러한 유혹을 이겨냅니다.
- 의미: 세 딸은 물질적 욕망, 쾌락, 집착을 상징하며, 이러한 유혹을 이겨내는 것이 성도에 이르는 중요한 과정임을 나타냅니다.
- 보리수:
- 표현: 부처님이 앉아 있는 보리수는 그의 깨달음을 상징합니다. 보리수는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은 장소로, 그 뿌리와 가지는 모든 존재의 삶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의미: 보리수는 진리와 깨달음의 상징이며, 부처님이 이곳에서 마왕의 유혹을 이겨내고 진리를 깨닫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수하항마상의 의의
- 교훈적 의미: 수하항마상은 불교 신자들에게 유혹과 내적인 장애를 극복하는 중요성을 일깨우며, 올바른 길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결단력을 상징합니다.
- 예술적 가치: 수하항마상은 불교 미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 장면은 감정과 동작이 잘 표현되어 있어, 예술적 가치가 높습니다.
- 명상과 수행의 도구: 이 상은 수행자에게 명상과 집중의 필요성을 상기시키며, 마왕의 유혹을 이겨내는 과정을 통해 진리를 깨닫도록 돕습니다.
- https://us.hanmaum.org/jiwon_tour/9
1층 법당의 팔상성도 – 부처님의 성도를 방해하는 파순의 딸들 > 울산지원
1층 법당의 팔상성도 – 부처님의 성도를 방해하는 파순의 딸들
us.hanmaum.org
*석가보살의 의미
"석가보살"이라는 용어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깨닫기 이전의 석가모니 부처님:
- 석가모니 부처님은 싯다르타 고타마 왕자로 태어나 출가 후 오랫동안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되셨습니다.
- 부처가 되기 이전, 즉 깨달음을 구하며 수행하던 시절의 석가모니를 "석가보살"이라고 부릅니다.
- 이는 마치 대통령 당선인이 아직 취임하기 전이지만 확실한 차기 대통령인 것처럼, 석가모니께서도 과거 무수한 생 동안 보살행을 통해 부처가 될 자격을 갖추셨음을 나타냅니다.
- 석가보살로서의 전생 이야기는 불교 설화집인 자타카에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2. 대승 불교의 이상적인 수행자:
- 대승 불교에서는 단순히 깨달음을 얻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서원을 세우고 수행하는 보살의 길을 강조합니다.
- 이러한 보살의 이상적인 모습을 석가모니 부처님의 전생에서의 행적과 연결하여 "석가보살"이라는 용어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 이는 모든 불교 수행자가 석가모니 부처님처럼 보살의 마음으로 정진하여 궁극적으로 부처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핵심:
- "석가보살"은 깨달음을 얻기 이전의 석가모니 부처님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 동시에, 대승 불교의 이상적인 수행자인 보살의 표상으로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삶을 기리는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