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5 <금강경강의> 법계통화분 제십구(法界通化分第十九) 法界通化分第十九법계통화분 제 십구 須菩提。於意云何。若有人滿三千大千世界。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한七寶以用布施。是人以是因緣得福多不。칠보로 보시한다면, 이 사람은 이 인연으로 복을 많이 받겠느냐?如是世尊。此人以是因緣得福甚多。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이 인연으로 복을 매우 많이 받을 것입니다.須菩提。若福得有實。如來不說得福德多。수보리야, 만약 복덕이 실체가 있다면, 여래는 복덕이 많다고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以福德無故。如來說得福德多。복덕이 실체가 없기 때문에, 여래는 복덕이 많다고 말하는 것이다. 1. 須菩提。於意云何。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한가? →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질문을 던지며, 그의 의견을 묻고 있습니다. 이는 논의의 시작을 알리는 문장입니다... 2025. 5. 14. <금강경강의> 일체동관분 제 18(一切同觀分 第 十八) 須菩提。於意云何。如來有肉眼不。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에게 인간의 눈이 있느냐?如是世尊。如來有肉眼。 그러합니다,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인간의 눈을 가지고 계십니다.須菩提。於意云何。如來有天眼不。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에게 하늘의 눈이 있느냐?如是世尊。如來有天眼。그러합니다,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하늘의 눈을 가지고 계십니다.須菩提。於意云何。如來有惠眼不。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에게 지혜의 눈이 있느냐?如是世尊。如來有慧眼。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지혜의 눈을 가지고 계십니다.須菩提。於意云何。如來有法眼不。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에게 진리의 눈이 있느냐?如是世尊。如來有法眼。그러합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진리의 눈을 가지고 계십니다.須菩提。於意云何。如來.. 2025. 5. 13. 서해의 푸른 기운 품은 기도처, 서산시 문수사 서해의 푸른 기운 품은 기도처, 서산 문수사(文殊寺)를 찾아서충청남도 서산의 아늑한 품에 안긴 문수사는 오랜 역사와 수려한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고찰입니다. 가야산 자락의 울창한 숲길을 따라 오르다 보면, 마치 속세와는 다른 시간 속에 머무는 듯한 평온함이 느껴집니다. 천년의 세월을 간직한 문수사는 단순한 사찰을 넘어, 서해의 푸른 기운을 담고 기도와 수행의 향기가 은은하게 퍼지는 특별한 공간입니다.천년의 숨결, 문수사의 역사 속으로문수사의 창건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백제 말기 혹은 고려 초기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사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을 모시고 있으며, 예로부터 학업 성취와 지혜 증진을 기원하는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습니다.문수사는 조선시대에 이르.. 2025. 5. 4. <금강경> 구경무아분 제17(究竟無我分第十七) 구경무아분 제17(究竟無我分第十七) 爾時須菩提白佛言。그때 수보리(須菩提)가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世尊。若善男子善女人。세존(世尊)이시여, 만약 선남자(善男子) 선여인(善女人)이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켰다면,云何應住云何降伏其心。어떻게 그 마음을 머물게 해야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항복(降伏)시켜야 합니까?佛告須菩提。善男子善女人。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선남자 선여인이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當生如是心。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자는 마땅히 이러한 마음을 내어야 한다.我應滅度一切眾生。滅度一切眾生已。'나는 마땅히 일체 중생(一切衆生)을 멸도(滅度)하리라.' 이와 같이 일체 중생을 멸도하였을지라도,而無有一眾生實滅度者。何以故。실로 멸도된 중생은 하나도 없다고 생각해야 한다. .. 2025. 4. 27. 이전 1 2 3 4 ··· 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