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당신의 인생에 한 페이지

불교 입문35

인도 대승불교 무착과 세친에 대하여 🧑‍🤝‍🧑 무착과 세친 – 누구인가?무착은 "유식사상"의 기초를 만들고,세친은 그것을 논리적으로 완성했다.1. 무착(無着, Asanga, 아상가)출생: 4세기경 인도 북부형 (세친의 형)원래는 대중부 계열의 부파불교 승려였으나, 점차 대승불교로 전향명상과 수행을 중시했고, 특히 미래불 미륵보살의 가르침을 받았다고 전해짐유식사상의 뼈대를 만들며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 대승장엄경론(대승장엄론, 《대승장엄경론》, Mahāyānasūtrālaṅkāra) 등을 저술보살 수행의 실천적 길을 중시함2. 세친(世親, Vasubandhu, 바수반두)무착의 동생초기에는 설일체유부의 논사로, 아비달마에 밝았음형 무착의 영향을 받아 대승불교로 전환, 이후 유식학을 심화시킴구사론(俱舍論), 유식삼십송, 해심밀경론, 성유.. 2025. 4. 16.
4장. 부처님의 가르침을 통해 무엇을 배울 것인가? 01불교의 법에 깃들어 있는 의미탐구 01 삶의 등불, 불교의 다르마(Dharma)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그 속에서 우리는 기쁨과 슬픔, 만족과 고통을 경험합니다. 이러한 삶의 여정 속에서 길을 잃거나 방황할 때, 등불처럼 우리를 밝혀주고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주는 가르침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불교에서 **다르마(Dharma)**는 바로 그러한 등불과 같은 존재입니다.산스크리트어 '다르마'는 그 의미가 매우 다층적이고 포괄적이어서 하나의 단어로 완벽하게 번역하기 어렵습니다. 일반적으로 **'법(法)'**이라고 번역되지만, 이는 다르마의 다양한 측면 중 극히 일부분만을 담고 있을 뿐입니다. 다르마는 우주의 근본적인 진리, 법칙, 도리를 의미하며, 동시에 이러한 진리에 기반한 가르침, 수행, 윤리, 규범까지 아우르.. 2025. 4. 13.
앗사지 비구(아사지 비구, 阿說示, Assaji)1. 부처님의 첫 다섯 제자 중 한 명 🔹 앗사지 비구(아사지 비구, 阿說示, Assaji)1. 부처님의 첫 다섯 제자 중 한 명앗사지 비구는 “오비구(五比丘)”, 즉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으신 뒤 처음으로 가르침을 설하신 다섯 제자 중 한 사람입니다.이들은 사르나트(녹야원)에서 초전법륜을 들었고, 불교 승단의 최초 구성원이 되었습니다.오비구는:아야깟타나 꼰단냐(Kondañña, 견진)왓지야(Vappa)바사빠(Bhaddiya)마하나마(Mahanama)앗사지(Assaji, 아사지, 阿說示)👉 바로 이 분이 “앗사지 비구”입니다. 🔸 이름 뜻과 언어산스크리트: Assaji (아사지)팔리어: Assaji한자 음역: 阿說示 / 阿闍世 → 때로는 음역에서 혼동이 있음※ 주의!**“아사세(阿闍世, 아쟈따삿투)”**는 코살라국의 왕자로**앗사지(阿說示.. 2025. 4. 5.
부처님과 동원정사, 위사카의 위대한 보시 이야기 부처님과 동원정사, 위사카의 위대한 보시 이야기불교 역사 속에는 수많은 보시왕(布施王)들이 등장합니다. 기원정사를 건립한 아나타핀디카(급고독 장자)가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한 이가 있습니다. 바로 위사카(Viśākhā, 비사카) 부인입니다. 그녀는 신심 깊은 불제자로서 사위성(舍衛城)의 동쪽에 ‘동원정사(東園精舍, Pubbārāma)’를 세워 부처님과 제자들에게 공양을 올리고 수행의 터전을 마련해 주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위사카가 동원정사를 건립하게 된 과정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위사카, 불교를 수호한 위대한 재가 신자위사카는 당시 인도 사회에서 가장 신심 깊고 존경받는 여성 불제자 중 한 명이었습니다. 그녀는 어려서부터 부처님의 가르침을 접하고 신심을 키워왔.. 2025.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