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입문35 7)천안제일 아누룻다(아나율) 천안 제일 아누룻다(아나율): 놓치지 않는 깨달음의 눈불교의 역사 속 찬란하게 빛나는 열 명의 제자, 십대제자 중에서도 특별한 능력을 인정받은 분이 계십니다. 바로 천안 제일(天眼第一), 즉 하늘의 눈으로 세상을 꿰뚫어 보는 능력이 가장 뛰어났다고 칭송받는 아누룻다(Anuruddha) 존자, 다른 이름으로는 아나율(阿那律) 존자입니다. 그의 이야기는 안락한 삶을 버리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라 수행에 매진하여 마침내 초인적인 능력을 얻게 된 감동적인 여정을 보여줍니다.왕족의 삶, 깨달음의 갈망: 안락함을 넘어선 숭고한 선택아누룻다 존자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친척으로, 풍요로운 왕족의 삶을 누렸습니다. 부족함 없는 환경 속에서 안락한 생활을 이어갔지만, 그의 마음 한편에는 세상의 덧없음과 진리에 대한 깊은 갈.. 2025. 4. 3. 6)논의제일 깟짜나(가전연) 논의 제일 깟짜나(가전연): 날카로운 지혜의 칼날로 미혹을 베다불교의 역사 속에는 수많은 빛나는 별들이 존재합니다. 그중에서도 석가모니 부처님의 10대 제자는 각기 뛰어난 재능과 덕목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펼치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습니다. 오늘 우리가 주목할 인물은 바로 **논의 제일(論議第一)**로 칭송받는 깟짜나(Kaccāna) 존자, 다른 이름으로는 가전연(迦旃延) 존자입니다. 그의 날카로운 지혜는 마치 잘 벼려진 칼날과 같아, 복잡하고 난해한 질문에도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며 사람들의 마음속 깊이 박힌 미혹의 뿌리를 뽑아냈습니다.지혜의 탄생: 출가 이전의 삶과 깨달음의 씨앗깟짜나 존자의 출생과 젊은 시절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많이 남아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는 당시 인도의 주요 사상가 중 .. 2025. 4. 3. 3장. 02 부처님의 제자들: 깨달음의 길을 함께 걸어간 동행자들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은 제자들은 크게 네 부류로 나눌 수 있으며, 이를 **사부대중(四部大衆)**이라고 합니다. 사부대중은 불교 공동체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네 그룹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습니다.비구(比丘, Bhikkhu): 남자 출가 수행자, 즉 승려를 의미합니다. 세속의 삶을 버리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라 수행하며 불교 공동체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계율을 지키고 정진하며, 다른 이들에게 가르침을 전하는 의무를 가집니다.비구니(比丘尼, Bhikkhunī): 여자 출가 수행자, 즉 여승을 의미합니다. 비구와 마찬가지로 세속의 삶을 떠나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수행하며 불교 공동체의 중요한 일원입니다. 비구니 역시 정해진 계율을 지키며 수행하고, 여성들에게 가르침을 펼치는 역할을 합니다.우바새(優婆.. 2025. 4. 2. 3장 佛畵로 보는 부처님의 생애-여덟째 쌍림열반상 쌍림열반상(雙林涅槃像)**은 예천 용문사 팔상성도(八相成道) 중 네번째 폭의 하나로, 부처님이 열반에 드는 장면을 묘사한 탱화입니다. 이 상은 불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부처님의 마지막 순간과 그의 가르침이 어떻게 지속되는지를 보여줍니다.부처님 열반직전 일어난 춘다의 일춘다의 배경:춘다는 쿠시나가르 근처의 한 마을에 사는 대장장이로, 부처님과 그의 제자들을 존경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부처님이 가르침을 전파하는 모습을 보고 감명을 받았으며, 부처님을 초대하여 음식을 대접하고자 결심합니다.부처님과의 만남:부처님은 춘다의 초대를 받아들여 그의 집에서 식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춘다는 자신의 최고의 음식을 준비하고, 부처님과 제자들에게 정성껏 대접했습니다.마지막 식사:부처님은 춘다가 준비한 음식.. 2025. 4. 1.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