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서적소개4 만암평전 근현대 한국불교의 빛, 만암(萬庵) 스님을 기억하며만암 종헌(曼庵宗憲, 1876~1957) 스님은 격변의 시기였던 대한제국 말기부터 일제강점기, 그리고 해방 이후 한국 불교계에 큰 영향을 미친 선각자이자 교육자입니다.출가 및 수행: 1876년 전라북도 고창에서 태어난 만암 스님은 1886년 백양사에서 취운 스님을 은사로 출가했습니다. 그는 삼선 수행을 중요하게 여기며 수행자 본연의 자세를 강조했습니다.교육 사업: 만암 스님은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재 양성에 힘썼습니다.광성의숙 설립 (1910): 백양사 청류암에 세워진 광성의숙은 불교 경전뿐만 아니라 역사, 국어, 산술 등 신학문을 가르쳐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교육기관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일제 강점기 민족 교육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습니다.심상학교 .. 2025. 4. 17. 금강경 오가해(金剛經五家解) *금강경 오가해(金剛經五家解)**는 대승불교의 핵심 경전 중 하나인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에 대한 다섯 명의 중국 선사(禪師)들의 주석(註釋)을 모아 놓은 책입니다. '오가(五家)'는 다섯 명의 뛰어난 선지식을 의미하며, 이들의 다양한 관점과 해석을 통해 금강경의 심오한 뜻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오가해에 포함된 다섯 명의 선사는 다음과 같습니다.규봉 종밀(圭峰 宗密, 780~841): 찬요(纂要)당나라 화엄종의 제5조로, 선(禪)과 교(敎)의 융합을 주장한 인물입니다. 그의 주석은 화엄의 사상적 배경을 바탕으로 금강경을 해석하고 있습니다.육조 혜능(六祖 慧能, 638~713): 구결(口訣) 또는 해의(解義)중국 선종의 제6조이며, 돈오(頓悟) 사상을 확립한.. 2025. 4. 10. 불교 번역의 거장, 구마라집(鳩摩羅什) 이야기 불교가 인도에서 중국으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 중 한 명을 꼽으라면 단연 **구마라집(鳩摩羅什)**일 것입니다. 그는 중국 불교 삼대 역경가 중 한 사람으로, 단순한 번역가가 아니라, 불교 사상을 중국 문화에 맞게 풀어낸 사상적 가교자이자 불교철학자였습니다. 🧘♂️ 구마라집은 누구인가? 구마라집은 4세기경 인도 서북부(현 중앙아시아) 지역인 쿠차국에서 태어났습니다. 일반적으로 344년으로 알려져 있으나, 350년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산스크리트어로는 Kumārajīva라고 부르며, 그의 아버지는 구마라염(鳩摩羅炎)이라는 인도 귀족 출신의 승려였습니다. 그는 원래 재상의 자리를 이을 수 있었으나 출가하여 쿠차로 왔습니다. 쿠차 왕은 그의 명성을 듣고 국사로 삼았습니다. 그의 어.. 2025. 4. 10. 경허록, 만공법어 봉정식을 기념하며 도서 자료 요약 『경허록』 요약**경허(鏡虛) 스님(1849~1912)**은 근현대 한국 불교 선풍을 다시 일으킨 인물로 평가받으며, 그의 어록인 『경허록』은 간결하고 선문답적인 표현을 통해 깨달음의 세계를 드러냅니다.주요 내용직지인심(直指人心)마음을 바로 보라는 선불교 핵심 가르침을 강조하며, 글귀보다는 실제 자기 마음을 비추는 수행을 중시합니다.불립문자(不立文字)진리는 문자에 머물지 않으며, 참된 깨달음은 책이나 말에 있지 않고 스스로 체득해야 한다고 역설합니다.선문답(禪問答)공안(公案)과 같은 형식으로 의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응답을 통해 스스로 본성을 깨닫게 합니다.무념무상(無念無相)아무 생각, 아무 형상도 의지하지 말고 본래면목을 보라는 가르침이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만공법어』 요약**만공(滿空) 스님.. 2025. 4.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