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입문35 3장 불화로 보는 부처님의 생애 다섯째 설산수도상 1. 설산수도상의 의미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혹독한 고행을 하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팔상성도(八相成道) 중 다섯 번째 장면입니다.‘설산(雪山)’은 문자 그대로 ‘눈 덮인 산’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수행하는 장소로 상징됩니다. 즉, 석가모니가 출가 후 깨달음을 얻기 위해 극심한 고행을 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입니다.2. 설산수도상의 주요 내용① 출가 후 수행과 고행석가모니는 출가 후 여러 스승을 찾아가 명상을 배우지만 만족하지 못하고 스스로 진리를 깨닫기 위해 깊은 산속으로 들어갑니다.이때, 그는 설산(雪山)이라고 불리는 곳에서 6년 동안 극한의 고행을 하며 수행합니다.② 극한의 수행과 육체적 소멸이 장면에서는 석가모니가 극도로 야위고 뼈만 남.. 2025. 3. 31. 3장 불화로 보는 부처님의 생애-네 번째 유성출가상 예산 용문사 소장 팔상성도 – 네 번째: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은 팔상성도(八相成道)의 네 번째 장면으로, 석가모니가 왕궁을 떠나 출가하는 순간을 묘사한 중요한 장면입니다.1. 유성출가상의 의미"유성출가(踰城出家)"란 **"성을 넘어 출가하다"**라는 뜻으로, 부처님이 왕궁과 세속의 삶을 버리고 수행자의 길로 들어서는 사건을 의미합니다.태자는 앞선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에서 인간의 노병사(老病死)를 목격하며 인생의 덧없음을 깨닫고, 이 고통을 해결할 방법을 찾기 위해 출가를 결심하게 됩니다.그러나 아버지 정반왕(淨飯王)은 아들이 출가하는 것을 반대하였고, 궁궐을 철저히 지키도록 명령하였습니다.그러자 태자는 한밤중에 몰래 성을 넘어 수행자의 길을 떠나는 결단을 내립니다... 2025. 3. 31. 3장 불화로 보는 부처님의 생애. 두번째 비람강생상 1. 비람강생상의 의미"비람(毘藍)"은 **비람천(毘藍天, Pāriyātra)**을 의미하는데, 이는 신성한 장소를 뜻하며, "강생(降生)"은 내려와 태어남을 의미합니다.즉, 비람강생상은 도솔천에서 내려온 호명보살이 인간 세계에서 왕자로 태어나는 순간을 가리킵니다.① 마야부인의 태몽과 출산마야부인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잉태하기 전에 태몽을 꾸는데, 꿈에서 백색 코끼리가 몸속으로 들어오는 꿈을 꿉니다.이는 도솔천에서 내려온 호명보살이 마야부인의 태중으로 들어가는 과정을 의미합니다.10개월 후, 마야부인은 **란비니 동산(藍毘尼園, Lumbinī, 룸비니 동산)**에서 오른손으로 무우수(無憂樹, Aśoka Tree) 가지를 잡고 서 있는 상태에서 부처님을 출산합니다.② 부처님의 탄생과 일곱 걸음석가모니는 마야.. 2025. 3. 31. 3장 불화로 보는 부처님의 생애. 첫째 도솔내의상 이번 기획에서는 우리나라 예산의 용문사 팔상성도의 불화를 통하여 부처님의 생애를 여덟부분으로 나뉘어 소개하고자 합니다. 여덟 가지 장면은 다음과 같습니다.도솔내의상(兜率內儀相) – 석가모니가 도솔천에 머무는 모습비람강생상(毘藍降生相) – 인간 세상에 태어나는 장면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 – 동서남북 문에서 인생의 고통을 깨닫는 모습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 왕궁을 떠나 출가하는 모습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 – 고행을 수행하는 모습수하항마상(樹下降魔相) – 보리수 아래에서 마왕을 항복시키는 모습녹원전법상(鹿苑轉法相) – 녹야원에서 첫 설법을 하는 모습쌍림열반상(雙林涅槃相) – 열반에 드는 장면이 중 도솔내의상은 석가모니의 전생적 배경을 다루며, 인간 세상으로 내려오기 전의 신성한 존재로서의 의미를 강조하는 중.. 2025. 3. 31.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