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당신의 인생에 한 페이지
불교 입문

3장 불화로 보는 부처님의 생애-네 번째 유성출가상

by 페이지85 2025. 3. 31.

예산 용문사 소장 팔상성도 – 네 번째: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

**유성출가상(踰城出家相)**은 팔상성도(八相成道)의 네 번째 장면으로, 석가모니가 왕궁을 떠나 출가하는 순간을 묘사한 중요한 장면입니다.

유성출가상


1. 유성출가상의 의미

"유성출가(踰城出家)"란 **"성을 넘어 출가하다"**라는 뜻으로, 부처님이 왕궁과 세속의 삶을 버리고 수행자의 길로 들어서는 사건을 의미합니다.

태자는 앞선 **사문유관상(四門遊觀相)**에서 인간의 노병사(老病死)를 목격하며 인생의 덧없음을 깨닫고, 이 고통을 해결할 방법을 찾기 위해 출가를 결심하게 됩니다.
그러나 아버지 정반왕(淨飯王)은 아들이 출가하는 것을 반대하였고, 궁궐을 철저히 지키도록 명령하였습니다.

그러자 태자는 한밤중에 몰래 성을 넘어 수행자의 길을 떠나는 결단을 내립니다.


2. 유성출가상의 주요 장면

① 한밤중에 말을 타고 성을 떠나는 석가모니(태자 싯다르타)의 모습

  • 태자는 하얀 말을 타고 성벽을 넘는 모습으로 표현됩니다.
  • 말을 끄는 시종 **차나(車匿, Channa)**가 함께 등장하며,
  • 태자의 출가를 돕기 위해 조용히 말을 인도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 보통 태자는 화려한 왕자 복장을 하고 있지만, 표정은 결연한 의지를 가진 모습입니다.

② 하늘에서 이를 지켜보는 신들의 모습

  • 불교 경전에서는 신들이 태자의 출가를 도왔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 신들은 성벽 위에서 태자가 탈출하는 것을 돕거나, 말발굽 소리를 감추는 역할을 합니다.
  • 따라서 유성출가상에서는 천인(天人)들이 태자를 향해 꽃을 뿌리거나, 조용히 기뻐하는 모습이 묘사되기도 합니다.

③ 깊은 밤의 배경

  • 그림에서는 어두운 밤 분위기가 강조되며,
  • 성벽과 궁궐이 웅장한 배경으로 묘사되면서 태자의 결단을 더욱 강조합니다.
  • 간혹 달빛 아래에서 출가하는 태자의 모습이 세밀하게 표현되기도 합니다.

④ 말을 되돌려보내는 장면

  • 태자는 성을 넘은 뒤, 말을 돌려보내며 시종 차나에게 마지막 작별을 고합니다.
  • 이후 머리카락을 자르고 수행자의 모습으로 변하는 과정으로 이어집니다.

3. 예산 용문사 소장 팔상성도에서 유성출가상의 특징

예산 용문사 팔상성도에서도 전통적인 유성출가상의 구도와 구성을 따를 가능성이 큽니다.

  • 태자는 하얀 말을 타고 성벽을 넘으며,
  • 시종 차나가 조용히 말을 이끄는 모습,
  • 하늘에서 이를 지켜보는 신들의 모습,
  • 어두운 밤을 배경으로 한 장면 구성 등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조선 후기 불화에서 출가 장면은 세밀한 필선과 장식적인 요소가 강조되는 경향이 있어, 예산 용문사 팔상성도에서도 화려한 색감과 정교한 문양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사진 속에서 말을 타고 있는 인물은 **태자 싯다르타(석가모니 부처님의 출가 전 모습)**입니다.

     태자 싯다르타의 출가 과정

  • 태자는 수행자가 되기 위해 한밤중에 몰래 왕궁을 떠납니다.
  • 그의 충직한 마부 **차나(車匿)**가 동행하며, 천신들이 출가를 돕습니다.
  • 성을 넘은 뒤 태자는 머리카락을 자르고 왕자의 복장을 버리며 본격적으로 수행자가 됩니다.
  •  
  • 그림의 구조 분석
    • 왼쪽 아래: 궁전에서 태자의 출가를 슬퍼하는 가족이나 신하들
    • 오른쪽: 말을 타고 이동하는 태자 싯다르타
    • 위쪽: 천신들이 태자의 출가를 축복하는 모습

4. 유성출가상의 교훈과 의미

"왕자의 삶을 버리고 수행자가 되는 길을 선택한 순간"
"세속적인 즐거움을 초월하고, 진리를 찾는 수행의 시작"
"중생의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의 길을 개척하는 결단"


5. 결론

유성출가상은 팔상성도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 되는 장면으로,
태자가 왕궁과 부귀영화를 떠나 수행자의 길을 가는 모습을 통해 진리를 향한 결단과 헌신의 정신을 강조하는 장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