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당신의 인생에 한 페이지
불교 입문

3장 불화로 보는 부처님의 생애 다섯째 설산수도상

by 페이지85 2025. 3. 31.

 

설산수도상

1. 설산수도상의 의미

설산수도상(雪山修道相)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기 위해 혹독한 고행을 하는 장면을 묘사한 것으로, 팔상성도(八相成道) 중 다섯 번째 장면입니다.
‘설산(雪山)’은 문자 그대로 ‘눈 덮인 산’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수행하는 장소로 상징됩니다. 즉, 석가모니가 출가 후 깨달음을 얻기 위해 극심한 고행을 하는 과정을 표현한 것입니다.


2. 설산수도상의 주요 내용

출가 후 수행과 고행

  • 석가모니는 출가 후 여러 스승을 찾아가 명상을 배우지만 만족하지 못하고 스스로 진리를 깨닫기 위해 깊은 산속으로 들어갑니다.
  • 이때, 그는 설산(雪山)이라고 불리는 곳에서 6년 동안 극한의 고행을 하며 수행합니다.

극한의 수행과 육체적 소멸

  • 이 장면에서는 석가모니가 극도로 야위고 뼈만 남은 모습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6년간 극한의 수행을 하면서 식사를 거의 하지 않으며, 피부가 검고 몸이 말라가는 모습으로 표현됩니다.
  • 이는 불교에서 강조하는 ‘고행(苦行)’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장면입니다.

고행의 무의미함을 깨닫는 순간

  • 오랜 시간 고행을 이어가던 석가모니는 결국 극단적인 고행만으로는 깨달음을 얻을 수 없다는 사실을 자각합니다.
  • 이후, 마을로 내려와 수자타라는 여인으로부터 유미죽(乳糜粥, 우유로 만든 죽)을 받아먹으며 건강을 회복한 후 보리수 아래에서 선정에 들어갑니다.
  • 이 과정은 깨달음을 향한 길이 단순한 고행이 아니라, ‘중도(中道)’를 실천하는 것임을 강조하는 의미를 지닙니다.

3. 예산 용문사 팔상성도에서의 표현 방식

예산 용문사에 소장된 팔상성도 중 설산수도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야윈 몸의 부처님: 극도로 마른 모습으로 표현되며, 뼈가 도드라져 보이는 경우가 많음.
  • 수행의 장소: 험난한 산속, 동굴, 바위 위와 같은 배경이 등장함.
  • 고행의 모습: 명상하는 장면, 단식으로 쇠약해진 모습, 혹은 가부좌를 틀고 깊은 사색에 잠긴 모습으로 묘사됨.
  • 유미죽 공양 장면: 수자타가 등장하여 부처님께 유미죽을 공양하는 장면이 포함될 수도 있음.

4. 설산수도상의 교훈

  • 극단적인 고행이 깨달음의 길이 아니라는 것: 부처님은 극한의 수행을 했지만 결국 고행만으로는 깨달음을 얻을 수 없음을 깨닫습니다.
  • 중도의 가르침: 극단적인 쾌락과 극단적인 고행을 모두 배제하고, 균형 잡힌 수행을 해야 한다는 ‘중도(中道)’의 개념을 상징합니다.
  • 참된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과정: 설산수도상은 본격적으로 부처님이 깨달음으로 가는 중요한 전환점을 나타내는 장면입니다.

5. 결론

예산 용문사 팔상성도의 설산수도상은 부처님의 깨달음을 향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순간 중 하나를 담고 있습니다. 단순한 수행이 아닌, 극단적인 고행이 무의미함을 깨닫고 중도를 실천하는 모습이 강조됩니다. 이를 통해 불교의 핵심 가르침인 ‘중도’와 ‘올바른 수행’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장면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