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당신의 인생에 한 페이지
초기경전

<금강경강의> 법계통화분 제십구(法界通化分第十九)

by 페이지85 2025. 5. 14.

法界通化分第十九

법계통화분 제 십구

 

須菩提。於意云何。若有人滿三千大千世界。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한

七寶以用布施。是人以是因緣得福多不。

칠보로 보시한다면, 이 사람은 이 인연으로 복을 많이 받겠느냐?

如是世尊。此人以是因緣得福甚多。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이 인연으로 복을 매우 많이 받을 것입니다.

須菩提。若福得有實。如來不說得福德多。

수보리야, 만약 복덕이 실체가 있다면, 여래는 복덕이 많다고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

以福德無故。如來說得福德多。

복덕이 실체가 없기 때문에, 여래는 복덕이 많다고 말하는 것이다.

 

<해석>

1. 須菩提。於意云何。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한가? →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질문을 던지며, 그의 의견을 묻고 있습니다. 이는 논의의 시작을 알리는 문장입니다.

2. 若有人滿三千大千世界。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 가득한 → 삼천대천세계는 불교에서 말하는 광대한 우주를 의미합니다. 즉,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넓은 범위의 세계를 뜻합니다.

3. 七寶以用布施。 칠보(귀한 보물)로 보시(베풂)를 한다면, → 금, 은, 유리, 수정, 자거, 진주, 마노 등의 귀한 보물을 베푸는 행위를 뜻합니다. 불교에서 보시는 타인을 위해 자비를 실천하는 중요한 수행입니다.

4. 是人以是因緣得福多不。 이 사람이 그 인연으로 많은 복을 얻을 것인가? → 베풂의 결과로 많은 복덕을 얻을 수 있는지 묻고 있습니다. 복덕은 선행을 통해 얻는 공덕을 의미합니다.

5. 如是世尊。此人以是因緣得福甚多。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그 인연으로 매우 많은 복을 얻을 것입니다. → 수보리가 이에 동의하며, 많은 복덕을 얻는다고 답합니다.

6. 須菩提。若福得有實。 수보리야, 만약 복이 실체가 있는 것이라면, → 복덕이 실체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라면, 즉, 형태가 있는 것이라는 가정입니다.

7. 如來不說得福德多。 나는 그가 많은 복덕을 얻었다고 말하지 않았을 것이다. → 만약 복덕이 실체적인 것이라면, 부처님께서는 그것을 많다고 표현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뜻입니다.

8. 以福德無故。如來說得福德多。 그러나 복덕은 실체가 없기 때문에, 나는 그가 많은 복덕을 얻었다고 말하는 것이다. → 복덕은 실체가 없는 것이므로, 부처님께서 "많은 복덕을 얻었다"라고 표현하신 것입니다. 이는 불교의 공(空) 사상과 연결됩니다. 즉, 진정한 복덕은 집착할 수 있는 실체가 아니라, 무형의 것이라는 뜻입니다.

 

부처님은 엄청난 양의 재물을 보시하는 행위가 큰 복을 가져다주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복이라는 것 자체가 고정된 실체가 있는 것이 아니라고 말씀하시는 겁니다. 진정한 복은 물질적인 크기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집착 없는 마음과 지혜로운 행위에서 비롯된다는 뜻입니다. 겉으로 보이는 행위의 크기에 얽매이지 않고, 공(空)의 이치를 깨달아 행하는 보시야말로 진정으로 크고 무한한 복덕을 가져다준다는 심오한 가르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