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삶의 의미와 종교
종교(宗敎)란? 종교란 한자어로 풀이를 하자면
1. 宗(종) → 근본, 으뜸, 종가
- "宗"자는 **집(宀) 아래에 모셔진 조상(示)**을 뜻하는 글자로, 원래 가장 중요한 것, 근본이 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종교에서는 궁극적인 진리, 신앙의 대상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2. 敎(교) → 가르치다, 깨우치다
- "敎"자는 손(攵)으로 아이(子)에게 가르치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 이는 종교가 가르침을 통해 사람들을 깨우치고 인도하는 역할을 함을 뜻합니다.
- → “궁극적인 근본(宗)을 가르치는 것(敎)”
→ 즉, 인간이 믿고 따르는 가장 중요한 가르침을 의미합니다.
→ 신, 깨달음, 우주적 진리, 도(道) 등 삶의 본질을 탐구하고 가르치는 체계를 뜻합니다.
이렇게 한자의 의미를 풀어보면, 종교는 단순한 믿음을 넘어 삶의 본질적인 의미를 탐구하고, 인간에게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는 행복을 좇으면서 살아갑니다. 세상 사람들이 말하는 행복의 조건을 하나씩 갖추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노력한 결과가 이루어지면 뿌듯해 하곤 합니다. 그러고 나면 삶의 목표는 조금 더 커지고 우리는 좀 더 커진 행복의 조건을 채우기 위해 살아갑니다.
하지만 아무리 노력해도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때는 크게 실망하고 절망하기 마련입니다. 그런 때 어떤 사람은 절망을 딛고 다시 일어나지만, 어떤 사람은 좌절한 그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합니다.
우리의 삶은 이것과 비슷합니다. 게다가 행복의 조건은 늘 변하게 마련입니다. 그래서 그 조건을 채운다 해도 죽을 때까지 끝내 만족하지 못하고 살아갑니다.
도대체 왜 이렇게 행복하려고 애를 쓰는지, 그렇게 해서 잠시 맛보는 행복은 왜 영원히 만족감을 주지 않는 것일까요.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나 자신인데 단 한번도 나는 어떤 사람이고, 나에게 어떤 가치가 있는지를 진정으로 생각해 보지 못한다면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지요.
경전에는 한 젊은 청년의 이야기가 있다.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이루신 지 얼마 지나지 않았을 때 있었던 일이입니다.다.
한 청년이 이른 새벽 집을 뛰쳐나왔습니다. 그 청년의 이름은 야사, 그 집의 외동아들이었습니다.
야사의 집은 아주 부유해서, 그는 모든 쾌락을 누릴 수 있었다. 지난 밤에도 야사의 집에서는평소와 다름없이 커다란 잔치가 벌어졌습니다. 아름답기 그지 없는 무희들이 악기로 음악을 연주하며 노래부르고 관능적인 춤을 추는 가운데 야사는 향기로운 술을 마시며 잔치를 즐겼습니다. 술과 욕정이 밤늦도록 흐르는 가운데, 어느 순간 야사는 술에 취해 곯아 떨어졌고, 무희들도 악기를 아무 데나 팽개치고 쓰러져 잠이 들었습니다.
이른새벽, 야사는 문득 눈을 떴다. 주변을 둘러보자 지난밤에는 그토록 눈을 흘리며 몸과 마음을 흥분시켰던 여인들이 피로를 이기지 못하고 여기저기서 뒹굴며 기체처럼 자고 있었다. 야사는 어젯밤 그토록 화려했던 여인들의 모습에서 죽음을 보고 절규하고 있었습다.
"오, 괴롭다. 아, 끔찍하다."
야사는 괴롭고 고통스러운 마음에 찾아헤매다가부처님을 만나게 되었습니다.
이 이미지는 부처님과 야사의 첫 만남을 표현했습니다. 보리수 아래에서 부처님이 지혜롭고 평온한 모습으로 앉아 있고, 화려한 옷을 입은 야사가 깨달음을 구하는 듯한 표정으로 다가오는 장면입니다.
부처님은 야사에게 **사성제(四聖諦: 고(苦), 집(集), 멸(滅), 도(道))**에 대해 가르치셨고, 이를 들은 야사는 곧 깨달음을 얻게 되어 출가를 결심합니다.
야사의 부모와 친구들도 그를 찾으러 왔고, 그 과정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듣고 감명을 받아 결국 야사의 아버지는 **재가 신도(在家信徒, 우바새)**가 되었고, 야사의 친구들 또한 출가하여 불교 최초의 60명의 아라한 제자들 중 일부가 되었습니다.
물론 모든 사람이 허무하고 고통스러운 마음이 든다고 야사처럼 집을 뛰쳐나와 부처님이 계신 숲으로 향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살면서 한번이라도 집이라는 울타리, 직장, 사회 등 경계 안을 진지하게 들여다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런 삶이 진정으로 우리가 원하던 것이었는지를 돌이켜 보아야 합니다. 야사처럼 집을 나오지 않더라도 자신의 삶을 부정하지 않더라도 지금의 삶에 진정한 가치를 담기 위해 깊이 고민하고 또 고민해 봐야 합니다. 이렇게 덧없는 인생에 진정한가치를 심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종교입니다.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사 살펴보기 (0) | 2025.03.29 |
---|---|
2장 불교에서 무엇을 믿고 이룰 것인가 (1) | 2025.03.27 |
3. 불교를 믿는 이유 2번째 (0) | 2025.03.25 |
3) 종교의 세가지 유형 (1) | 2025.03.24 |
2. 2) 종교에 미혹되는 사람들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