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아함경 3권 13경에 의하면
어느때 부처님께서 여러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이 세상에는 지혜가 있다고 자처하는 사람들이 진리라고 주장하는 세 가지가 있다.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이 세 가지 가운데 하나에 의지하는데, 그런 주장을 믿고 따르는 사람은 아무런 이익도 얻지 못한다. 어떤 것이 그 세가지 인가?
첫째는, '사람이 지금 이 세상에서 하는 모든 행위는 전부 지난 세상에 결정된 것이며 바꿀 수가 없다'는 주장이다.
둘째는, "이 세상 모든 것은 절대자와 같은 전지전능한 존재가 창조했고, 인간의 행불행은 그런 존재에 의해 좌지우지된다":는 주장이다.
셋째는 " 이 세상 모든 것은그 어떤 원인이나 조건 없이 그냥 멋대로 일어났다가 사라지는 우연의 연속일 뿐이다."는 주장이다."
중아함경 제3권 제13경은 '치라경(治羅經)'이라고도 불리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주요 내용:
- 부처님께서 구살라국의 사위성에 계실 때, 치라라는 외도 수행자와 나눈 문답을 기록한 경전입니다.
- 치라는 '나는 모든 것을 안다'라고 주장하며, 부처님께 여러 가지 질문을 던집니다.
- 부처님께서는 치라의 질문에 대해 세상의 덧없음, 고통, 무아(無我)의 진리를 설하며, 올바른 수행의 길을 제시합니다.
- 특히, 14가지 어려운 질문(십사무기)에 대하여 답변하지 않고, 사성제를 가르치는 것이 열반으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설명합니다.
- 십사무기란, 사후세계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답변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 핵심 가르침:
- 세상의 모든 것은 변화하고 고통을 내포하며, 영원한 실체는 없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 올바른 수행을 통해 집착과 번뇌를 버리고, 해탈에 이르러야 함을 가르칩니다.
- 사성제는 고통의 원인, 고통의 소멸, 고통 소멸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며, 해탈을 위한 근본적인 가르침입니다.
이 경전은 헛된 이론과 주장에 현혹되지 않고, 진실한 가르침을 따라 올바른 수행을 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을 상세히 담고 있습니다.
1. 배경 및 등장인물:
- 부처님께서는 구살라국의 사위성에 계셨습니다.
- 치라는 '나는 모든 것을 안다'라고 주장하는 외도 수행자였습니다.
2. 치라의 질문과 부처님의 답변:
- 치라는 세상의 본질, 사후세계, 영원한 실체 등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부처님께 던집니다.
- 부처님께서는 이러한 질문들에 대해 직접적인 답변을 피하시며, 대신 세상의 덧없음, 고통, 무아(無我)의 진리를 설하십니다.
- 특히, 14가지 어려운 질문(십사무기)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않고, 사성제(四聖諦)를 가르치는 것이 진정한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길임을 강조하십니다.
- 십사무기란, 사후세계에 대한 질문에 대하여 답변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 세상은 영원한가?
- 세상은 영원하지 않은가?
- 세상은 영원하기도 하고 영원하지 않기도 한가?
- 세상은 영원하지도 않고 영원하지 않지 않기도 한가?
-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는가?
-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지 않는가?
-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기도 하고 존재하지 않기도 한가?
- 여래는 사후에 존재하지도 않고 존재하지 않지 않기도 한가?
- 몸과 마음은 같은가?
- 몸과 마음은 다른가?
- 몸과 마음은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한가?
- 몸과 마음은 같지도 않고 다르지도 않은가?
3. 핵심 가르침:
- 세상의 모든 것은 변화하고 고통을 내포하며, 영원한 실체는 없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 올바른 수행을 통해 집착과 번뇌를 버리고, 해탈에 이르러야 함을 가르칩니다.
- 사성제는 고통의 원인, 고통의 소멸, 고통 소멸에 이르는 길을 제시하며, 해탈을 위한 근본적인 가르침입니다.
4. 결론
*세가지 진리에 대한 한계점과 모순점: 절대적인 존재가 세상을 창조하였다면 세상의 불행과 악행도 그의 창조물인가.
*이런 일들에 대한 범죄에 대해 그 창조신을 처벌해야 하는가?
*이 세가지 주장이 인간의 자유의지와 죄악에 대한 책임문제를 설명해 주지 못한다.
'불교 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사 살펴보기 (0) | 2025.03.29 |
---|---|
2장 불교에서 무엇을 믿고 이룰 것인가 (1) | 2025.03.27 |
3. 불교를 믿는 이유 2번째 (0) | 2025.03.25 |
2. 2) 종교에 미혹되는 사람들 (0) | 2025.03.23 |
1장 왜 종교를 가져야 하는가. (1)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