須菩提。於意云何。若人滿三千大千世界。
수보리야, 너의 생각은 어떠한가? 만일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를 가득 채워서
七寶以用布施。是人所得福德寧為多不。
온갖 일곱 가지 보배로 보시한다면, 이 사람이 얻는 복덕이 많겠느냐?
須菩提言。甚多世尊。何以故。
수보리가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매우 많습니다. 왜냐하면,
是福德即非福德性。是故如來說福德多。
이 복덕은 본래 복덕의 성품이 아니므로, 여래께서는 복덕이 많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
若復有人。於此經中受持乃至四句偈等。為他人說。其福勝彼。
만약 또 어떤 사람이 이 경전 가운데 네 구절의 게송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남을 위해 설한다면,
그 복은 앞의 복보다 더 큽니다.
何以故。須菩提。
왜 그런가? 수보리야.
一切諸佛及諸佛阿耨多羅三藐三菩提法。皆從此經出。
일체 모든 부처님과 부처님이 성취한 무상정등정각의 법은 모두 이 경에서 나왔기 때문이라네.
須菩提。所謂佛法者即非佛法。
수보리야, 이른바 '불법(佛法)'이라는 것도 본래 불법이 아니니라.
🎵 彌勒頌 (미륵송)
寶滿三千界 齎持作福田
삼천 세계 가득한 보물도 보시하면 복전이 되고,唯成有漏業 終不離人天
다만 유루(有漏)의 업만 짓게 되니, 결국 인천(人天)의 복만 머무를 뿐이다.持經取四句 與聖作良緣
경전의 네 구절이라도 지니고 전하면, 성인의 길과 인연이 된다.欲入無為海 須乘般若船
무위(無爲)의 바다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반야(般若)의 배를 타야 하느니라.
✨ 해설 요약
삼천세계 보시 | 거대한 물질적 보시가 큰 복덕을 쌓음 |
네 구절 전법 | 법을 받아 지니고 남에게 전하는 것이 더 큰 복 |
복덕의 본질 | 복덕이라 해도 본래 복덕의 자성은 없음 (공성) |
부처와 법의 근원 | 모든 부처와 정각의 근원은 바로 이 경전 |
불법도 비불법 | 불법 또한 본성적으로는 '고정된 것'이 아님 (공의 사상) |
불교의 핵심 교의 중 하나인 “skandha” (산스크리트어: स्कन्ध, 팔리어: khandha, 한자: 蘊, 운) 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한글로는 흔히 "오온(五蘊)"이라고 번역되며, 영어로는 aggregates, 또는 heaps 등으로 번역됩니다. 이 장에서는 복덕성이라는 것을 산스크리스트어의 skandha의 개념과 상응한다고 봅니다.
🌿 1. Askandha / Skandha란?
Skandha는 문자 그대로는 **‘덩어리’, ‘집합’, ‘더미’**를 뜻합니다.
불교에서는 "나(아트만, ātman)"라는 실체는 없으며,
우리가 ‘나’라고 착각하는 것은 다섯 가지 요소의 결합체일 뿐이라고 설명합니다.
이 다섯 가지를 **오온(五蘊, pañca-skandha)**이라고 합니다.
👉 askandha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단어는 아니지만, a-skandha(非蘊)로 이해할 수 있으며,
즉 오온이 아닌 것, 무아의 상태 또는 열반을 뜻하는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skandha(蘊) 그 자체가 중요한 교리이므로 중심 설명은 skandha에 둡니다.
🪷 2. 오온(五蘊)의 구성
색온 | rūpa | 물질 | 물리적 몸, 감각 기관, 외부 세계 |
수온 | vedanā | 느낌 | 좋음, 나쁨, 중간의 감각적 반응 |
상온 | saṃjñā | 지각 | 인식하고 분별하는 기능 |
행온 | saṃskāra | 형성 작용 | 의지, 습관, 성격 등 조작하는 힘 |
식온 | vijñāna | 의식 | 감각 대상과의 접촉에서 생기는 인식 작용 |
🔍 3. 왜 Skandha가 중요한가?
부처님은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기 위해서는
오온을 관찰하고, 그 안에 '나'라는 실체가 없음을 통찰해야 한다.
즉, 오온은 ‘무아(無我)’를 이해하는 열쇠입니다.
복덕: Punya Skandha (पुण्य स्कन्ध)”**는 문자 그대로 번역하면 “공덕의 집합”, 또는 **“복덕의 덩어리”**라는 의미입니다. 이 표현은 경전에서는 자주 등장하지 않는 고유합성어지만, 불교적 맥락에서 다음과 같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용어산스크리트의미
Punya Skandha = 공덕의 누적체, 선업의 총합
즉, *"Punya Skandha"*는 한 사람의 삶 혹은 윤회 속에서 쌓인 선한 업적, 공덕의 축적을 말할 수 있습니다.
Punya | पुण्य | 공덕, 선행의 결과, 복 |
Skandha | स्कन्ध | 집합, 덩어리 (보통 오온에서 사용) |
'초기경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가경》 제1품: 바라문 악귀가 청한 장 (0) | 2025.04.16 |
---|---|
<능가경> 거북이 털 토끼 뿔의 유래 (0) | 2025.04.16 |
<금강경> 무득무설분 제칠 無得無說分 第七 (0) | 2025.04.14 |
『금강경』 제6분 정신희유분 正信希有分 (0) | 2025.04.14 |
<금강경강의> 여리실견분 제오 如理實見分第五 — "진실로 여래를 보다" (1) | 2025.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