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당신의 인생에 한 페이지

초기경전24

동아시아 불교의 빛나는 별, 진제(眞諦) 스님: 험난한 여정과 위대한 유산 동아시아 불교의 빛나는 별, 진제(眞諦) 스님: 험난한 여정과 위대한 유산 동아시아 불교 역사 속에서 찬란하게 빛나는 세 명의 별, 구마라즙(鳩摩羅什), 현장(玄奘), 그리고 진제(眞諦) 스님은 불교 경전의 번역이라는 숭고한 과업을 통해 불법의 씨앗을 넓고 깊게 심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진제 스님은 파란만장한 삶 속에서도 굴하지 않는 의지와 끊임없는 노력으로 수많은 중요한 경전을 한역하여 중국 불교, 더 나아가 동아시아 불교 사상에 깊은 발자취를 남긴 위대한 역경가입니다. 본 글에서는 진제 스님의 드라마틱한 생애와 그의 빛나는 업적을 조명하며, 그가 동아시아 불교에 남긴 심오한 의미를 되새겨 보고자 합니다.1. 파란만장한 여정의 시작: 인도에서 중국으로의 길진제 스님(Paramārtha, 波羅末陀)은 서기.. 2025. 4. 10.
당대 최고의 구도자, 역경의 대가 현장(玄奘)스님 현장 스님의 위대한 여정과 불경 번역 이야기중국 불교사에서 가장 찬란한 별이라 할 수 있는 인물이 바로 현장(玄奘) 스님입니다. 그는 인도까지 직접 발걸음을 옮겨 진리를 구하고, 수많은 불교 경전을 번역하며 후세에 지대한 영향을 남긴 중국 3대 역경가 중 한 사람입니다. 오늘은 그의 삶과 업적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현장(玄奘, 602년 ~ 664년) 스님은 중국 당나라의 대표적인 승려이자 불교 번역가이며, 그의 인도 구법(求法) 여행기는 소설 '서유기'의 모티브가 된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그의 삶은 불교에 대한 깊은 열정과 험난한 고행, 그리고 방대한 불경 번역이라는 위대한 업적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구법(求法)의 길에 나서다현장 스님은 602년 중국 낙양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릴 적부터 총명하고.. 2025. 4. 10.
금강경 번역가에 대한 정리 금강경은 불교 경전의 가장 중요한 공(空)과 반야사상을 함축한 경전으로 지금도 널리 대중들에게 읽혀지고 있는 가장 유명한 경전입니다. 금강경은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읽히는 경중에 금강반야바라밀경으로 구마라즙 스님의 번역한 경전이 가장 많지만  보리유지, 진제, 달마굽타, 현장, 의정스님에 대해서는 아직 많이 알려진 자료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에 대한 간략하고 체계적인 자료 정리를 하고자 합니다. 이 인물들은 모두 인도와 중국 불교 전통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불경 번역과 전파에 기여했습니다.1. 구마라즙 (Kumārajīva, 구마라습)생몰연도: 344? ~ 413년출신: 쿠차국 (현 중국 신장 지역)활동 지역: 중국 장안(長安)업적:중국 불교에서 가장 유명한 불경 번역가 중 한 명... 2025. 4. 10.
< 금강경 > 묘행무주분 제4 - 妙行無住分第四 📿 금강경 제4장 - 무주상 보시의 지혜불교의 참된 베풂이란 무엇일까?📖 원문 및 해석復次須菩提。於法應無所住。行於布施。다시 말하노니, 수보리야, 모든 법에 있어서 머무름이 없이 보시(布施)해야 한다.所謂不住色布施。不住聲香味觸法布施。즉 색(色), 소리(聲), 향기(香), 맛(味), 감촉(觸), 마음의 대상인 법(法)에 집착하지 않고 보시해야 한다.須菩提。菩薩應如是布施不住於相。何以故。수보리야, 보살은 이처럼 상(相)에 머무르지 않고 보시해야 하느니라. 어째서인가?若菩薩不住相布施。其福德不可思量。만일 보살이 상에 머무르지 않고 보시한다면, 그 복덕은 헤아릴 수 없느니라.🌼 彌勒보살의 6바라밀 송(頌) 해설보시와 함께 수행되어야 할 육바라밀(六波羅蜜)을 彌勒菩薩의 송(頌)을 통해 음미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5. 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