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당신의 인생에 한 페이지

초기경전22

《능가경》 제1품: 바라문 악귀가 청한 장 《능가경》 제1품: 바라문 악귀가 청한 장서두거룩한 《능가경》 대승경.한때 세존께서는 랑카(능가)라는 성스러운 도시에 계셨습니다. 그것은 바다 가운데 자리잡은, 보석으로 장엄하고 갖가지 꽃들로 장식된 아름다운 산이었습니다. 그곳에는 수많은 비구들과 대보살들, 선정과 지혜, 신통력과 위신력을 지닌 자들이 모여 있었습니다.그 보살들은 온갖 중생의 마음과 몸, 성품, 계율, 성향 등을 통찰하고 다섯 법과 자성, 인식, 무아 이치를 깨달은 대보살들의 무리였습니다. 그들은 하나의 방편으로 자리를 같이하고 있었습니다.그때 세존께서는 용왕의 궁전에서 일곱 날 머무르셨고, 그곳에서 여러 하늘 존재들과 용녀들, 범천과 함께 능가산 정상으로 올라오셨습니다. 이 능가산은 과거의 여러 여래들께서 지혜로 법을 설하신 장소이기도.. 2025. 4. 16.
<능가경> 거북이 털 토끼 뿔의 유래 "귀모토각(歸無所得覺)"은 《능가경》(楞伽經, Laṅkāvatāra Sūtra)에서 매우 핵심적인 깨달음의 경지를 가리키는 표현 중 하나입니다. 이 용어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얻을 것이 없는 깨달음에 귀의한다"**는 뜻이며, 대승불교 특히 유식(唯識) 사상과 관련이 깊습니다. 아래에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릴게요.1. 의미 해석귀(歸): 돌아가다, 귀의하다. 최종적으로 도달한다는 의미입니다. 수행의 끝자락, 혹은 마음의 궁극적인 방향성을 나타냅니다.무소득(無所得): 아무것도 얻을 것이 없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얻음"은 자아적 성취, 실체적 진리의 파악 등을 의미하며, 반야사상과 유사하게 모든 존재는 공(空)하고, 실체적으로 얻을 것이 없다는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각(覺): 깨달음입니다. 진리를 바로.. 2025. 4. 16.
《금강경》 의법출생분 제팔〈依法出生分 第八〉 須菩提。於意云何。若人滿三千大千世界。수보리야, 너의 생각은 어떠한가? 만일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를 가득 채워서七寶以用布施。是人所得福德寧為多不。온갖 일곱 가지 보배로 보시한다면, 이 사람이 얻는 복덕이 많겠느냐?須菩提言。甚多世尊。何以故。수보리가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매우 많습니다. 왜냐하면,是福德即非福德性。是故如來說福德多。이 복덕은 본래 복덕의 성품이 아니므로, 여래께서는 복덕이 많다고 말씀하신 것입니다.若復有人。於此經中受持乃至四句偈等。為他人說。其福勝彼。만약 또 어떤 사람이 이 경전 가운데 네 구절의 게송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남을 위해 설한다면,그 복은 앞의 복보다 더 큽니다.何以故。須菩提。왜 그런가? 수보리야.一切諸佛及諸佛阿耨多羅三藐三菩提法。皆從此經出。일체 모든 부처님과 부처님이 성취한 무상정등정각의.. 2025. 4. 14.
<금강경> 무득무설분 제칠 無得無說分 第七 須菩提。於意云何。수보리여, 너의 생각은 어떠한가?如來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耶。如來有所說法耶。여래가 아뇨타라삼먁삼보제를 얻었는가? 여래가 어떤 법을 설하였는가?須菩提言。수보리가 말하였다.如我解佛所說義。제가 이해한 바에 의하면,無有定法名阿耨多羅三藐三菩提。亦無有定法如來可說。여래가 말하는 법은 아뇨타라삼먁삼보제라는 이름을 가진 정해진 법이 없으며, 여래가 설하는 법도 정해진 법이 없다고 생각합니다.何以故。왜냐하면,如來所說法皆不可取不可說。非法非非法。여래가 말하는 법은 모두 취할 수 없고, 말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법이 아니며, 또한 비법도 아닙니다.彌勒頌曰。미래불의 송가曰菩提離言說  從來無得人보리는 말과 생각을 떠난 것이며, 본래 얻을 사람이 없습니다.須依二空理  當證法王身둘이 아닌 이치를 따라야 하.. 2025.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