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당신의 인생에 한 페이지

초기경전26

금강경강의 법회인유분 제1(法會因由分第一) 法會因由分第一如是我聞。一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與大比丘眾千二百五十人俱。爾時世尊。食時著衣持缽入舍衛大城乞食。於其城中次第乞已。還至本處。飯食訖。收衣缽洗足已敷座而坐。본문해석如是我聞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경전의 모든 내용이 아난존자로부터 전해졌음을 나타내는 전형적 서두입니다.)一時佛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원정사에 계셨다.(‘사위국’은 고대 인도의 코살라국의 수도이며, ‘기원정사’는 장자가 지어 부처님께 바친 유명한 사찰입니다.)與大比丘眾千二百五十人俱1,250명의 대비구들과 함께 계셨다.(대비구란 성인의 수행 단계에 이른 출가 제자들을 뜻합니다. 이 숫자는 흔히 부처님을 따른 주요 제자들의 수를 나타냅니다.)爾時世尊 食時著衣持缽入舍衛大城乞食그때 세존께서는 공양 시간에 가사를 입고 발우를 들고.. 2025. 4. 8.
반주삼매경요약해설 반주삼매경(般舟三昧經)은 대승불교의 초기 경전 중 하나로, **'현재의 부처님이 눈앞에 나타나는 삼매'**를 뜻합니다. 원래 이름은 **《시방현재불실재전립정경(十方現在佛悉在前立定經)》**이며, 줄여서 **반주경(般舟經)**이라고도 합니다.주요 내용:관불삼매(觀佛三昧)의 중요성: 반주삼매는 여러 관불삼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며, 부처님을 마음속에 떠올리고 삼매에 들면 부처님이 수행자의 눈앞에 실제로 나타나는 수행법을 강조합니다.정토신앙의 초기 형태: 이 경전은 초기 정토신앙의 중요한 자료로, 아미타불의 명칭을 염송하는 수행법이 이미 존재했음을 보여줍니다.실천적인 수행 강조: 단순히 부처님을 생각하는 것을 넘어, 끊임없는 정진, 계율 준수 등 구체적인 수행 방법을 제시합니다.삼계유심(三界唯心) 사상.. 2025.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