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당신의 인생에 한 페이지

전체 글139

<금강경>지경공덕분 제십오(持經功德分第十五) 持經功德分第十五경을 지니는 공덕을 설한 열다섯 번째 장 須菩提。若有善男子善女人。수보리야, 만일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初日分以恒河沙等身布施。中日分復以恒河沙等身布施。첫날 아침에 항하의 모래 수만큼 몸을 보시하고, 낮에도 다시 몸을 보시하며,後日分亦以恒河沙等身布施。저녁에도 또한 항하사 몸으로 보시하되, 각 시간의 의미한자 표현직역의미初日分초일분아침 — 해가 막 떠오르는 시간대中日分중일분정오 — 해가 중천에 떠 있는 시간後日分후일분저녁 — 해가 기우는 무렵, 해질 무렵 如是無量百千萬億劫以身布施。이와 같이 한량없는 백천만억겁 동안 몸을 보시하더라도,若復有人聞此經典。만약 또 어떤 사람이 이 경전을 듣고信心不逆其福勝彼。믿음을 내어 거스르지 않으면, 그 복은 앞선 자보다 더 크니라.何況書寫受持讀誦為人解說。하물며 이를 필.. 2025. 4. 25.
<금강경>이상적멸분 제14 離相寂滅分 第十四 離相寂滅分 第十四이상적멸분 제14爾時須菩提。聞說是經深解義趣。그때 수보리는 이 경을 듣고 그 뜻을 깊이 이해하였다.涕淚悲泣而白佛言。눈물을 흘리며 슬피 울며 부처님께 아뢰었다.希有世尊。佛說如是甚深經典。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이처럼 심오한 경을 설하셨습니다.我從昔來所得慧眼。未曾得聞如是之經。未曾: 일찍이 ~한 적이 없다得聞: 들을 수 있었다如是: 이와 같은之經: 이 경전 (이와 같은 경)저는 예로부터 지혜의 눈을 얻었으나, 이와 같은 경은 들은 적이 없습니다. 彌勒頌曰。미륵보살이 게송으로 말하였다.聞經深解義 心中喜且悲경을 듣고 깊은 뜻을 이해하니, 마음속에 기쁨과 슬픔이 함께 일어난다.昔除煩惱障 今能離所知예전에는 번뇌의 장애를 없앴고, 이제는 알음알이마저 떠날 수 있게 되었다.遍計於先了 圓成證此時먼.. 2025. 4. 23.
<금강경>여법수지분 제13 如法受持分第十三 如法受持分第十三여법수지분 제13 爾時須菩提白佛言。世尊。當何名此經。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경은 무엇이라 이름해야 합니까?”我等云何奉持。저희는 어떻게 이 경을 받들어 지녀야 하겠습니까?”佛告須菩提。是經名為金剛般若波羅蜜。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 경은 『금강반야바라밀』이라 하느니라.以是名字汝當奉持。이 이름으로 너는 이 경을 받들어 지니라.所以者何。須菩提。佛說般若波羅蜜。則非般若波羅蜜。왜냐하면, 수보리야, 부처님이 설한 반야바라밀은 진정한 반야바라밀이 아니며,是名般若波羅蜜。다만 이름하여 반야바라밀이라 하느니라.須菩提。於意云何。如來有所說法不。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설한 법이 있는가?須菩提白佛言。世尊。如來無所說。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여.. 2025. 4. 22.
🧘 테라와다 불교란? 🧘 테라와다 불교란?**테라와다(Theravāda)**는 팔리어로 “장로들의 가르침”이라는 뜻입니다.이는 초기 불교 전통을 계승한 종파로, 현재 남방불교의 주류입니다.📍 주로 믿는 지역스리랑카미얀마(버마)태국라오스캄보디아이러한 지역에서는 **팔리어 경전(팔리 경, Tipiṭaka)**을 중심으로 수행과 교학 체계를 유지합니다.📚 주요 특징구분내용경전팔리 삼장(Tipiṭaka) – 경장, 율장, 논장중심 사상사성제, 팔정도, 연기설, 무아해탈관아라한이 목표 (열반 실현)수행계·정·혜 삼학을 통한 실천 중심강조출가자의 계율 엄수, 명상 수행📖 주요 경전 모음집 (팔리 경장)디가 니까야(Dīgha Nikāya) – 장부(長部)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āya) – 중부(中部)상윳타 니까야(Sa.. 2025. 4. 22.
상윳타 니까야란 상윳타 니까야》(Saṃyutta Nikāya, 相應部經典)**는 팔리어 니까야 4부 중 세 번째 경전집으로, 테라와다 초기 불교 경전 중 가장 중요한 모음집 중 하나입니다.📘 상윳타 니까야란?의미: Saṃyutta는 “상응(相應)” 혹은 “관련된 것끼리 모은 것”을 뜻합니다.형식: 주제별로 부처님의 말씀(경전)을 엮은 모음집전체 구성: 약 2,889편의 경으로 이루어져 있음📚 구성 (5대부)부 이름팔리어내용 요약1. 계본상윳타Sagātha Saṃyutta신(天)들과의 대화 포함, 시(偈) 형식의 경들2. 수다상윳타Nidāna Saṃyutta12연기 등 인과법에 대한 교설3. 산율라상윳타Khandha Saṃyutta오온(五蘊)에 대한 설명4. 살라얏타상윳타Saḷāyatana Saṃyutta12처(內外六.. 2025. 4. 22.
초기불교와 힌두교에서의 관세음보살 초기불교 경전(팔리어 니까야, 한역 아함경 등)에서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존재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관세음보살은 대승불교에서 등장한 대표적인 보살이며, 초기불교의 체계 안에서는 그 이름이나 개념 자체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아래에 시대별 특징과 관세음보살의 발전 과정을 정리해드릴게요.🔹 초기불교 (기원전 5세기~기원후 1세기)경전: 팔리 니까야(디가, 맛지마, 상윳따, 앙굿따라), 한역 아함경 등중심 사상: 아라한 성취, 4성제, 8정도, 무아보살 개념은 거의 등장하지 않으며, 관세음보살이라는 존재는 전혀 언급되지 않음.수행의 목표는 개인의 열반 성취(아라한이 되는 것).🔹 대승불교의 등장 (기원후 1세기 이후)이 시기에 ‘보살행’을 강조하는 대승경전이 등장하면서 관세음보살이 서서히 경전에.. 2025. 4. 22.
『금강경』 제12분 : 존중정교 분 (尊重正教分) 정법을 존중하고 그 가치를 찬탄하다📜 원문과 한글 번역復次須菩提。隨說是經乃至四句偈等。또한, 수보리야, 이 경을 설하거나, 나아가 네 구절의 게송이라도 말하는 자가 있다면,當知此處一切世間天人阿修羅。그가 있는 그곳은 온 세상의 사람들과 하늘의 존재들, 아수라도,皆應供養如佛塔廟。모두가 마땅히 그를 부처님의 탑과 절처럼 공양해야 하느니라.何況有人盡能受持讀誦。하물며 누군가 이 경을 온전히 수지하고 읽고 외우는 경우는 더 말할 필요도 없느니라.須菩提。當知是人成就最上第一希有之法。수보리야, 알라. 이 사람은 가장 뛰어나고 더없이 드문 진리를 이룬 자이니라.若是經典所在之處。則為有佛若尊重弟子。이 경전이 있는 그곳은 곧 부처님이 계신 곳이며, 그곳에 존귀한 제자들이 머무는 곳이라 할지니라.🪷彌勒頌 해설 게송 번역恒沙為比.. 2025. 4. 21.
금강경 무위복승분(無為福勝分) 제11 무위복승분(無為福勝分) 제11“형상 없는 공덕이 형상 있는 복보다 더욱 뛰어나다”📜 원문과 번역須菩提。如恒河中所有沙數。如是沙等恒河。수보리야, 가령 갠지스강에 있는 모래의 수만큼, 그 모래 하나하나마다 갠지스강이 있다고 하자.於意云何。是諸恒河沙寧為多不。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많은 갠지스강의 모래는 많다고 할 수 있겠느냐?須菩提言。甚多世尊。수보리가 말하였다.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但諸恒河尚多無數。何況其沙。갠지스강들만 해도 셀 수 없이 많은데, 하물며 그 모래는 더하겠나이다.須菩提。我今實言告汝。수보리야, 이제 너에게 진실로 말하겠다.若有善男子善女人。어떤 선남자와 선여인이以七寶滿爾所恒河沙數三千大千世界。그 많은 갠지스강의 모래 수만큼의 삼천대천세계를 가득 채운 칠보(七寶, 보석들)로以用布施得福多不。보시(布.. 2025. 4. 20.
『금강경』 제10장 ― 장엄정토분 제십(莊嚴淨土分第十) 한문 및 해석 장엄정토분 제십 (莊嚴淨土分 第十)🪷 본문과 번역佛告須菩提。於意云何。如來昔在然燈佛所。於法有所得不。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네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가 예전에 연등불(然燈佛)을 모셨을 때, 법에 있어서 어떤 얻음이 있었겠느냐?"世尊。如來在然燈佛所。於法實無所得。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연등불께 계셨을 때, 법에 있어서 실제로 얻은 것이 없었습니다."彌勒頌曰。미륵송 말씀하시길:昔時稱善慧 今日號能人예전에는 '선혜(善慧)'라 불렸고, 오늘날은 능인(能人)이라 일컫도다.看緣緣是妄 識體體非真인연을 살피면 그것은 헛된 것이요, 식의 본체 또한 진실이 아니다.法性非因果 如理不從因법성은 인과가 아니며, 이치에 따르되 원인으로부터 오는 것이 아니다.謂得然燈記 寧知是舊身연등불에게 수기 받았다.. 2025. 4. 20.
담선대법회 법사스님 금곡 무여대종사 금곡 무여(金谷 無如) 대종사는 현대 한국 불교의 선지식으로 존경받는 스님입니다. 오늘 국난극복을 위한 담선대법회에서 법문을 설하신 금곡 무여대종사님에 대한 영상입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H6dmOJnCZs0 주요 정보:출생: 1940년 경상북도 김천출가: 오대산 상원사 (은사: 희섭 스님)계: 사미계 (1968년 오대산 월정사, 계사: 탄허 스님), 구족계 (1971년 금정산 범어사, 계사: 석암 스님)법호: 금곡(金谷)현재: 봉화 축서사 조실주요 활동 및 특징:마음 공부 강조: 많은 사람들이 무여 스님을 뵙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편안해진다고 하며, 이는 스님께서 강조하시는 '마음 공부'의 결과로 여겨집니다. 스님께서는 부처님께서 주신 가장 좋은 선물로 마음 공부법.. 2025. 4. 18.
📖 금강경 일체 무상분 제9분 《一切無相分 第九》 📖 금강경 제9분 《一切無相分》(모든 상이 없음을 밝히는 장)🪷 본문과 번역 (한 줄씩)須菩提。於意云何。須陀洹能作是念。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수다원이 이런 생각을 할 수 있겠는가?我得須陀洹果不。‘나는 수다원과를 얻었다’라고 생각할 수 있겠는가?須菩提言。不也世尊。何以故。수보리가 말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그 까닭은 무엇입니까?須陀洹名為入流而無所入。수다원이란 ‘흐름에 들어간 자’라 하나, 실상은 어느 곳에도 들어감이 없습니다.不入色聲香味觸法。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에도 들어감이 없습니다.是名須陀洹。그래서 이름만 수다원이라 부릅니다.須菩提。於意云何。斯陀含能作是念。我得斯陀含果不。수보리야, 사다함이 이런 생각을 할 수 있겠는가? ‘나는 사다함과를.. 2025. 4. 18.
만암평전 근현대 한국불교의 빛, 만암(萬庵) 스님을 기억하며만암 종헌(曼庵宗憲, 1876~1957) 스님은 격변의 시기였던 대한제국 말기부터 일제강점기, 그리고 해방 이후 한국 불교계에 큰 영향을 미친 선각자이자 교육자입니다.출가 및 수행: 1876년 전라북도 고창에서 태어난 만암 스님은 1886년 백양사에서 취운 스님을 은사로 출가했습니다. 그는 삼선 수행을 중요하게 여기며 수행자 본연의 자세를 강조했습니다.교육 사업: 만암 스님은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인재 양성에 힘썼습니다.광성의숙 설립 (1910): 백양사 청류암에 세워진 광성의숙은 불교 경전뿐만 아니라 역사, 국어, 산술 등 신학문을 가르쳐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교육기관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일제 강점기 민족 교육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습니다.심상학교 .. 2025.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