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도의 결정적인 의미라는 고귀한 경전』
문맥상 이 부분은 『의도의 결정적인 의미라는 고귀한 경전』 중에서 "모든 법이 둘이 아님"이라는 심오한 교리를 해설하는 내용으로 보입니다.한국어 번역:복된 큰 행복으로 안정되었으며, 다섯 가지 큰 두려움을 완전히 벗어났고,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하나의 길을 걷는 존재이며, 일체 중생의 해악을 완전히 멸해 평온케 한 존재로서, 그와 같은 위대한 보살들은 깊은 뜻을 확실히 해설하였다. 모든 법에 대해 바르게 물었으며, 거룩한 법에 밝고, 지혜가 청정하며, 넓은 지혜와 덕이 있는 본질로부터 비롯되었고, 진실하고 완전한 뛰어난 이들, 관세음보살, 마이트레야, 문수보살 등과 같은 보살들과 하나의 방편으로써, 보살들은 모든 법이 말로 표현될 수 없고, 이원성으로부터 벗어난 본질, 진실한 의미에서 시작하여, 깊은 의..
2025. 4. 16.
능가경
“…탐구의 몸을 소유한 이, 모든 보리심을 지닌 대승보살들은 진정한 지혜를 정확히 수용하였고,부처님의 존재 방식은 둘이 아니며, 진실된 피안에 도달한 분이시고,그와 같은 이가 다른 어떤 것에도 섞이지 않은 해탈된 지혜의 극한에 이르셨습니다.그분은 끝과 중간이 없는 부처의 지위에 이르렀고,그 마음은 법계와 하나 되어 어떠한 혼탁함도 없으며,하늘의 영역까지 미치는 지혜를 갖추셨습니다.무수한 청정한 승가(僧伽)는 모두 큰 지혜를 지닌 자들이었고,그들은 부처님의 아들들이며, 마음은 매우 해탈되었고,지혜 또한 철저히 자유롭고,계율은 매우 청정하며,법에 대한 갈망은 모두 만족되었고,풍부히 듣고, 들은 것을 기억하고, 축적하며,훌륭한 사유를 행하고,훌륭한 설법을 하며,바른 실천을 실행하고,지혜는 빠르고, 날카롭고,확..
2025. 4. 16.
《능가경》 제1품: 바라문 악귀가 청한 장
《능가경》 제1품: 바라문 악귀가 청한 장서두거룩한 《능가경》 대승경.한때 세존께서는 랑카(능가)라는 성스러운 도시에 계셨습니다. 그것은 바다 가운데 자리잡은, 보석으로 장엄하고 갖가지 꽃들로 장식된 아름다운 산이었습니다. 그곳에는 수많은 비구들과 대보살들, 선정과 지혜, 신통력과 위신력을 지닌 자들이 모여 있었습니다.그 보살들은 온갖 중생의 마음과 몸, 성품, 계율, 성향 등을 통찰하고 다섯 법과 자성, 인식, 무아 이치를 깨달은 대보살들의 무리였습니다. 그들은 하나의 방편으로 자리를 같이하고 있었습니다.그때 세존께서는 용왕의 궁전에서 일곱 날 머무르셨고, 그곳에서 여러 하늘 존재들과 용녀들, 범천과 함께 능가산 정상으로 올라오셨습니다. 이 능가산은 과거의 여러 여래들께서 지혜로 법을 설하신 장소이기도..
2025. 4. 16.
인도 대승불교 무착과 세친에 대하여
🧑🤝🧑 무착과 세친 – 누구인가?무착은 "유식사상"의 기초를 만들고,세친은 그것을 논리적으로 완성했다.1. 무착(無着, Asanga, 아상가)출생: 4세기경 인도 북부형 (세친의 형)원래는 대중부 계열의 부파불교 승려였으나, 점차 대승불교로 전향명상과 수행을 중시했고, 특히 미래불 미륵보살의 가르침을 받았다고 전해짐유식사상의 뼈대를 만들며 유식삼십송(唯識三十頌), 대승장엄경론(대승장엄론, 《대승장엄경론》, Mahāyānasūtrālaṅkāra) 등을 저술보살 수행의 실천적 길을 중시함2. 세친(世親, Vasubandhu, 바수반두)무착의 동생초기에는 설일체유부의 논사로, 아비달마에 밝았음형 무착의 영향을 받아 대승불교로 전환, 이후 유식학을 심화시킴구사론(俱舍論), 유식삼십송, 해심밀경론, 성유..
2025. 4. 16.